2015년 6월 2일 화요일

한자 부수 불 (火/灬)

    2-2-6. 불 (火/灬)
불은 인간 문명의 상징이다. 인간은 불을 사용함으로써, 추위에 견딜 수 있고, 어둠을 밝힐 수 있었으며, 음식을 요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불 화(火/灬)자는 난방(煖房)이나 조명(照明), 요리(料理)에 관련되는 글자에 모두 들어간다.

불 화(火)는 태울 초(焦)자에 보듯이 다른 글자 아래에 올 때에는 4개의 점으로 나란히 쓰기도 하는데, 이렇게 나란히 4개의 점을 쓰는 글자라고 모두 불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다음은 그러한 예이다.
  • 새 조(鳥)까마귀 오(烏)제비 연(燕)자에서 4점은 새의 꼬리 깃털을 나타낸다. 
  • 말 마(馬)자의 4점은 다리를 나타낸다.
  • 물고기 어(魚)자의 4점은 지느러미를 나타낸다. 
  • 없을 무(無)자는 춤을 추는 사람의 모습을 그려 놓았다. 아래의 4점은 두 다리와 장식물의 모습이다. 
  • 검을 흑(黑)자는 노예나 죄인의 얼굴에 먹으로 문신을 새기는 모습이다. 아래의 4점은 두 다리와 먹물이 튀는 모습이다. 
  • 점 점(点)자는 점찍을 점(點)자의 속자이다. 아래에 있는 4개의 점은, 생략된 흑(黑)자에서 온 동시에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중 새 조(鳥), 말 마(馬), 물고기 어(魚), 검을 흑(黑)자는 글자 자체가 부수지만, 까마귀 오(烏), 제비 연(燕), 없을 무(無), 점 점(点)자 등은 부수가 화(火)이다.


■ 불 화(火/灬) - 불의 모습

활활타는 불의 모습을 본 따 만든 글자이다. 다음과 같이 불, 빛, 음식 요리 등을 나타내는 글자에 들어 간다.

불사를 분(焚)자는 나무(木)와 나무(木)를 불(火)을 질러 태우는 모습이다, 분서갱유(焚書坑儒)는 중국의 진(秦)나라 시황제(始皇帝)가 정치에 대한 비판을 금하려고 책을 불사르고, 학자들을 산 채로 구덩이에 묻어 죽인 일이다.

불땔 취(炊)자는 불 화(火)자에 하품 흠(欠)자를 합쳐 만든 글자이다. 하품(欠)하듯이 입을 크게 벌리고 불어서 불(火)을 땐다는 의미이다. 취사(炊事)는 불을 때어 음식을 장만하는 일이다. 불 화(火)자 대신 입 구(口)자를 붙이면, 하품(欠)하듯이 입(口)을 크게 벌리고 분다는 의미의 불 취(吹)자가 된다. 관악기(管樂器)를 취주악기(吹奏樂器)라고도 한다.

고기 구울 자(炙)자는 불(火)위에 고기(肉→月)을 굽는 모습을 본따 만든 글자이다. 회자(膾炙)는 육회와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널리 많은 사람들의 입에 많이 오른다는 뜻이다.

찔 증(蒸)자는 풀 초(艹)자와 [김오를 증(烝)]자를 합쳐 만든 글자이다. 김이 올라오는 곳(烝)에 풀(艹)을 올려 놓고 찌는 모습이다. 수증기(水蒸氣)는 물이 증발하여 생긴 기체이다. 김오를 증(烝)자는 불(灬)위에 놓인 그릇(U→一) 안에 담긴 물(水)을 끓이는 모습이다. 그릇(U→一)에 담긴 물(水)의 모습이, 비슷한 모양의 도울 승(丞)자로 변하면서, 소리 역할도 하게 되었다. 도울 승(丞)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구덩이(U→一)에 빠진 사람(了)을 두 손(了자 양쪽의 글자)으로 구해주는 모습이다.(그림 참조) 정승(政丞)은 정치를 돕는 사람이란 의미로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일컫는다.

이외에도 불과 관련되는 글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재앙 재(災)자는 황화강(巛) 홍수와 화재(火)가 재앙(災殃)이라는 의미이다.

그러할 연(然)은 원래 불(灬)에 고기(肉→月)나 개(犬)를 굽는 형상으로 불탄다는 의미였으나, "그러할"이란 의미가 추가되면서, 원래의 의미는 다시 불(火)가 추가되어 불탈 연(燃)자가 되었다.[자연(自然)]

능할 능(能)자는 곰의 모습을 본따 만든 글자이다. 곰이 재주가 많아 "능하다"라는 의미가 생기면서 곰이란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불 화(灬)자를 추가하여 곰 웅(熊)자를 만들었다. 곰의 털에서 고운 빛의 광택이 나기 때문이다. 그래서 웅(熊)자는 "빛나다"라는 의미도 있다. 웅담(熊膽)은 말린 곰의 쓸개로 한약재로 사용된다.

▶ 燈 : 등잔 등, 불 화(火) + [오를 등(登)] / 풍전등화(風前燈火)
▶ 燭 : 촛불 촉, 불 화(火) + [벌레 촉(蜀)] / 촉루(燭淚)
▶ 烽 : 봉화 봉, 불 화(火) + [이끌 봉(夆)] / 봉화(烽火)
▶ 燻 : 불기운 훈, 불 화(火) + [불길 훈(熏)] / 훈제(燻製)
▶ 燒 : 불사를 소, 불 화(火) + [요 임금 요(堯)→소] / 소각(燒却)
▶ 灼 : 불사를 작, 불 화(火) + [잔 작(勺)] / 작열(灼熱)
▶ 照 : 밝을 조, 불 화(灬) + [밝을 소(昭)→조] / 조명(照明)
▶ 熙 : 빛날 희, 불 화(灬) + [기뻐할 희()] / 박정희(朴正熙)
▶ 煇 : 빛날 휘, 불 화(火) + [군사 군(軍)→혼→휘] / 휘황찬란(輝煌燦爛)
▶ 爛 : 빛날 란, 불 화(火) + [가로막을 란(闌)] / 휘황찬란(輝煌燦爛)
▶ 蒸 : 찔 증, 풀 초(艹) + [김오를 증(烝)] / 수증기(水蒸氣)
▶ 烝 : 김오를 증, 불 화(灬) + [도울 승(丞)→증]
▶ 焦 : (불에)구울 초, 태울 초, 불 화(灬) + [새 추(隹)→초] / 초점(焦點), 노심초사(勞心焦思)
▶ 熟 : (불에) 익을 숙, 불 화(灬) + [누구 숙(孰)] / 숙련(熟鍊)
▶ 煎 : (불로) 달일 전, 불 화(灬) + [앞 전(前)] / 주전자(酒煎子)
▶ 烹 : (불로) 삶을 팽, 불 화(灬) + [형통할 형(亨)→팽] / 토사구팽(兎死狗烹)
▶ 燃 : 불탈 연, 불 화(火) + [그러할 연(然)] / 연소(燃燒)
▶ 熱 : 더울 열, 불 화(灬) + [심을 예()→열] / 열사(熱沙)
▶ 爐 : 화로 로, 불 화(火) + [그릇 로(盧)] / 화로(火爐)
▶ 烈 : (불이) 세찰 렬, 불 화(灬) + [벌일 렬(列)] / 열사(烈士)
▶ 煖 : 따뜻할 난, 불 화(火) + [당길 원(爰)→완→난] / 난로(煖爐)
▶ 烙 : (불로) 지질 락, 불 화(火) + [각각 각(各)→락] / 낙인(烙印)
▶ 燥 : 마를 조. 불 화(火) + [새 때로 울 조()] / 건조(乾燥)
▶ 爆 : 터질 폭, 불 화(火) + [했빛 쪼일 폭(暴)] / 폭탄(爆彈), 폭발(爆發)
▶ 烟 : 연기 연, 불 화(火) + [인할 인(因)→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