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간체자를 보면 웑래의 한자와 비슷하게 생겨서, 한자를 잘 아는 사람이라면 대략 짐작할 수 있습니다. 에를 들어 '经济'라는 글자를 보면 '경제(經濟)'라고 짐작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혀 짐작이 불가능한 간체자가 있습니다. 이런 간체자는 사용 빈도가 높기 때문에 꼭 알고 있어야하는 것이 많습니다. 아래에는 그러한 간체자들을 모아 보았습니다. 간체자를 배우려면 아래의 글자들을 꼭 암기 하시기 바랍니다.
▶ 가닥 아(丫) : 가닥, 포크물건(物件)의 위가 두 가닥으로 갈라진 모양을 본뜸 ▶ 일 업(业: 業) ▶ 따를 종(从) : 총(cong2), 사람 인(人) + 사람 인(人)▷ 從 : 따를 종, [따를 종(从)] + 발 지(止) + 걸을 척(彳)정자인 따를 종(從)자에서 걸을 척(彳)자와 그칠 지(止)자를 떼어낸 모습으로 따를 종(從)자의 원래 모습입니다. 따를 종(从)자는 사람 인(人)자 두 개를 사용하여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따라가는 모습으로 '뒤따라간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 从前(cong2qian2) : 예전- 从来(cong2lai2) : 한번도 ▶ 낱 대(个) : 꺼(個): 낱개(ge)한개 두개등 수를 세는 수사(중국에서는 양사라고 합니다)에 사용되는 글자로 정자와 많이 다른 모습입니다. 人과 ㅣ이 합쳐져서 한 사람을 뜻합니다. 個는 우리나라에서는 무생물을 가리킬때만 사용하지만 중국어에서는 사람 또는 무생물 모두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한 사람을 一个人이라고 하고 한 개라고 할 경우에도 一个라고 합니다. 초서체 에서 유래한 글자입니다.个人(ge4ren):개인一个(yi2 ge): 한명, 한개 ▶ 억(億:亿)▶ 대 세(世: 丗)▶ 전(專:专) ▶ 무리 중 (衆:众) ▶ 什(甚): 심할 심‘심하다’는 뜻을 가진 甚의 간체자입니다.什么:为什么: ▶ 儿:(兒)아이를 뜻하는 兒에서 윗부분을 떼어내었습니다.儿는 사람(人)을 뜻하기도 하고 두 다리를 뜻하기도 합니다.儿歌儿女▶ 几: (幾)본래 테이블을 뜻하는 幾에서 온 것으로 幾의 초서체 형태입니다.현재 几자는 테이블이라는 뜻으로는 별로 사용되지 않고 ‘몇’의 의미로 사용하며 다른 부수와 함께 사용된 글자 (机,矶)에도 같이 사용합니다.형태가 儿과 비슷하므로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几个 几十个 ▶ 华(화)는 화려할 華(화)의 간체자입니다. ▶ 卡 : 關뜻은 '관(關), 꼭 끼이다, 기침을 하다'는 뜻이죠.그런데 이 글자가 '카드'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발음은 "카"입니다. 예컨대 '電話卡'는 '전화카드','聖誕卡'는 '성탄카드', '信用卡'는 '신용카드', '記憶卡'는 '메모리카드' 처럼 쓰입니다. ▶ 복(僕) 푸2(仆) ▶ 头 : 터우(tou2), 큰 대(大) + 머리 모습(二)▷ 頭 : 머리 두, 머리 혈(頁) + [콩 두(豆)]초서체가 간략화 된 형태입니다. 사람의 모습(大)과 머리의 위치를 나타내는 점 두개로 이루어진 글자입니다. - 터우나오(头脑/頭腦) : 두뇌- 터우통(头痛/頭痛) : 두통- 터우뿌(头部(tou2bu4):머리 부분 ▶ 听(聽): 들을 청(ting1)입구(口)가 입으로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을 귀(도끼근斤은 귀의 모습을 간략화 한 것으로 도끼와는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로 듣고 있는 형태입니다. 초서체 에서 유래하였습니다.- 听众(ting1zhong4):청중,청취자- 听了(ting1le):들었다.- 收听(shou1ting1):청취하다 ▶ 双(雙): 둘 쌍(shuang1)우리나라에서도 같은 약자로 사용되고 있는 글자로, 윗 부분을 떼어 내고 밑의 又를 두개로 사용하여 '둘'이라는 뜻을 나타냅니다.双方(shuang1fang1):쌍방双人(shuang1ren2): 두사람 ▶ 对(대답할 대; duì) ▶ 导(이끌 도; dǎo) ▶ 为(爲)초서체 에서 따온 형태입니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약자로 為를 사용하는데이것을 좀 더 간략화한 형태입니다. 为人: 사람됨为了: 위하여 ▶ 发(쏠 발; fā,fà) ▶ 干(乾,幹): 마를 건,줄기간(gan1,gan4)한개의 글자로 여려개의 정자를 대체한 글자입니다. 주로 마르다는 뜻의 건자와 줄기 또는 중심이라는 간자의 의미로 사용되며 보통 알고 있는 방패간은 상대적으로 쓰임새가 아주 적습니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정자의 형태로 '하다'는 뜻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예: 건조하다는 뜻으로 사용된 경우 干燥,줄기라는 뜻으로 사용된 경우 干部하다는 뜻으로 사용된 경우 干完了 ▶ 开(열 개; kāi) ▶ 显 : 시앤(xian) = 르(日) + ▷顯: 나타날 현 = + 머리혈 -시앤시앤(显现/顯現) : 나타나다 ▶ 叠(겹쳐질 첩; dié) ▶ 昼 : 쩌우(zhòu) = 츠(尺) + 르(日) + 이(一)▷ 晝 : 낮 주초서체를 간단하게 쓴 형태로 현재 한중일 공통으로 사용하는 한자입니다.-쩌우이에(昼夜/晝夜): 밤낮,밤낮으로-바이쩌우(白昼/白晝): 낮 ▶ 么 잘 마로 읽고 원뜻은 ‘잘다,작다’는 뜻이나 현대 중국어에서 ‘어찌 ~하는가’는 뜻으로 사용합니다. 那么,什么,怎么등으로 뜨며 정자체 麽에서 삼마를 떼어낸 것입니다.么는 me라고 발음하지만 숫자 1을 뜻할 경우 yao1라고 읽기도 합니다.那么: 그러면什么: 무엇怎么: 어떻게- 乡鄕 ▶ 处(거처할 처; chù,chǔ) ▶ 备(갖출 비; bèi) ▶ 岁 : (suì)▷ 歲 : 해 세, 나이 세, 걸음 보(步) + 개 술(戌) 개 술(戌)자는 낫이나 도끼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인데, 곡식을 베는 낫(戌)으로 가을에 수확하면 한 해가 간다(步)에서 만들어진 글자입니다. ▶ 坏(壞): 무너질 괴(huài)무너진다는 뜻의 壞의 약자로 무너지면 나쁜 것이니 그 의미를 살려 不로 대체하였고 초서체에서도 不와 비슷한 형태로 쓰였습니다. 발음과 뜻을 모두 고려한 글자입니다.坏人(huàirén):나쁜사람坏话(huàihuà): 나쁜말 ▶ 场(場) (마당 장; cháng) 부수 우측을 간략화 하였습니다. '창자장 腸(肠)', '화창할 창暢(畅)'도 같은 형태를 취합니다.操场: 운동장 场所: 장소 ▶ 块(塊): 덩어리 괴(kuài) 부수 우측의 귀신 귀(鬼)를 kuài와 발음이 유사하면서 쓰기쉬운 결( )자로 대치하였습니다. 一块钱:1위안方块:네모 ▶圣(聖): 거룩할 성(shèng)정자의 윗부분을 또우(又)로 아래 임금왕(王)을 흙토(土)로 바꾸었습니다.위의 글자는 원나라와 명나라, 청나라때에도 사용되었습니다.圣人:성인圣经:성경 ▶坛(壇): 제단 단(tán)고대에 제사의식을 거행할 때 사용한던 둔덕이나, 둔대를 의미합니다.오른쪽 부분을 쓰기에 간편한 이를 운(云)으로 대치하였습니다.祭坛:제단文坛:문단 ▶坟(墳) 무덤 분(fén)소리부분인 우측부분을 비슷한 발음이 가지며 쓰기쉬운 글월문(文)으로대치하였습니다.坟墓:무덤古坟:고분 ▶际(際):때 제(jì)정자의 윗부분을 떼어내고 아랫부분만 사용한 형태입니다.国际:국제边际:경계지역 ▶阳(陽):볕 양(yáng)우측 날일 아랫부분을 떼어내고 날일(日)만 남긴 형태입니다.太阳:태양阴阳:음양 ▶阴(陰): 그늘 음(yīn)부수 우측의 부분을 달월(月)로 대치하였습니다. 해는 양(陽), 달은 음(陰)으로서속뜻을 고려하여 만들었습니다.阴险:음험하다阴谋:음모 ▶厅(廳):관청 청(tīng)모임 또는 손님을 접대하는 큰 홀이나 정부기관등을 의미하는 글자입니다. 집엄(广)을 기슭엄厂으로 바꾸고 들을 청(聽,ting)을 발음이 유사하면서 쓰기 쉬운丁(ding)으로 바꾸었습니다.客厅:응접실餐厅:식당 ▶厌(厭):싫어할 염(yàn)정자에서 부수아래의 좌측부분을 떼어내고 오른쪽 개견(犬)만 사용합니다.讨厌: 싫다, 싫어하다 ▶ 环(huán)環: 고리 환우측 부분 을 아니 불(不)로 바꾸었습니다.▶ 还(還):돌아올 환(huan2,hai2)還의 오른 쪽부분을 不로 변환시켰으며 글자의 뜻 보다 형태를 간략화하는데 중점을 둔 형태입니다.초서체 에서 유래하였습니다.还에는 돌려준다는 뜻과 아직이나 또의 뜻이 있습니다. ▶ 아르곤 아(氬)/(氩),气(기운 기; qì) ▶ 汉(한수 한; hàn)漢: 한수 한, 한나라 한 우측 부분을 쓰기 쉬운 또우(又)로 바꾸었습니다. 여기서 또우(又)자는 정자의의미와 전혀 상관이 없는 기호에 불과합니다. 즉 원 글자의 형태를 다소나마 유지하면서 간략화한 것입니다. 汉语: 중국어(중국에서는 중국어라는 용어는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汉字: 한자汉城 : 우리나라 수도인 서울 ▶ 泼(뿌릴 발; pō)潑: 뿌릴 발 ▶ 灯(등잔 정; dēng,dīng)燈: 등잔 등부수 우측의 오를 등을 중국어 발음이 유사하면서 쓰기 쉬운 고무래 정으로 바꾸었습니다. ▶ 灾(재앙 재; zāi)災: 재앙 재불이나서 재앙이 생겼다는 뜻에서 아랫 부분의 불화는 살리고 윗 부분을 집 면으로 바꾸었습니다.灾难:재난火灾:화재 ▶ 养 養: 기를 양yǎng정자 기를 양(養)에서 食부분을 간략화 시켰습니다.养家: 가족을 부양함养老: 노인을 부양함 ▶ 术(術): 재주 술(shu4)재주나 기술을 의미하며 術의 좌우부분을 떼어내고 나무목에 점을 찍은 가운데 부분만을 남긴 형태입니다.技术(ji4shu4):기술
Text-to-speech function is limited to 100 characters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