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6월 3일 수요일

한자 부수 마음 심(心/忄)

    3-15. 마음: 마음 심(心/忄)


마음 심(心/忄)
심장의 모습




《열자(列子)》의 탕문편(湯問篇)을 보면, 춘추전국 시대의 명의인 편작(扁鵲)이 뜻(志)은 강하나 기(氣)가 약한 사람과 기(氣)는 강하나 뜻(志)이 약한 사람을 치료하기 위해 두 사람의 가슴을 갈라 심장을 바꾸어 놓으니, 두 사람은 집을 서로 바꾸어 찾아가고 처자식도 바꾸어 알더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 이야기에서 보듯이 고대 중국인들은 마음이 머리가 아니라 심장에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보면 가슴이 설레고, 흥분되고 화가 나면 가슴이 벌렁거리고, 슬프거나 안타까운 것을 보면 가슴이 아프며, 두려우면 가슴이 뛰니까 마음이 가슴에 있는 심장에 있다고 생각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었을 겁니다. 그래서 한자에서 마음을 의미하는 마음 심(心)자는 심장(心臟)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마음이 고운 사람을 ’심성이 곱다’고 하는데, 이때 심성(心性)은 ‘심장(心)의 성질(性)’이란 뜻입니다.

사실 이런 생각은 서양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심장을 의미하는 단어인 하트(heart)는 마음이나 감정, 기분 등과 같은 의미도 함께 가지고 있습니다.

[사진] 춘추전국시대의 명의(名醫)인 편작(扁鵲)

예로부터 인간은 칠정(七情)이라고 해서 일곱 가지 감정을 가졌다고 하였습니다. 이 일곱 가지 감정은 기쁠 희(喜), 성낼 노(怒), 슬플 애(哀), 즐거울 낙(樂), 사랑 애(愛), 싫을 오(惡), 바랄 욕(欲)인데, 이러한 감정에 관련되는 글자에는 대부분 마음 심(心)자가 들어갑니다. 예기(禮記)의 칠정론(七情論)에서는 즐거울 낙(樂) 대신 두려울 구(懼)가 들어 있습니다.

사람의 심장은 사람의 중심에 있기 때문에 ‘가운데, 중앙(中央), 중심(中心)’이란 뜻도 있습니다. 핵심(核心)은 ‘열매의 씨(核)와 사람의 심장(心)’이란 뜻으로, 사물의 가장 중심이 되는 부분을 일컫습니다. 도심지(都心地)는 ‘도시(都)의 중심(心)이 되는 땅(地)’입니다.

마음 심(心)자가 다른 글자와 만나면 주로 글자의 아래에 들어가지만(思, 想, 念), 글자의 왼쪽에 들어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에는 작을 소(小)자처럼 글자의 모양이 변합니다(憶, 惟, 情).

- 생각
▶ 사(思:思:) : (마음의) 생각 사, 마음 심(心) + 정수리 신(囟→田)
▶ 상(想:想:) : (마음의) 생각 상, 마음 심(心) + [서로 상(相)]
▶ 념(念:念:) : (마음의) 생각 념, 마음 심(心) + [이제 금(今)→념]
▶ 려(慮:虑:) : (마음의) 생각 려, 마음 심(心) + [밥그릇 로(盧)→려]
▶ 억(憶:忆:) : (마음으로) 생각할 억, 마음 심(忄) + [뜻 의(意)→억]
▶ 유(惟:惟:) : (마음으로) 생각할 유, 마음 심(忄) + [새 추(隹)→유]

마음으로 생각을 하므로, 생각에 관련된 글자에는 모두 마음 심(心)자가 들어갑니다.
사고(思考), 사색(思索) 등에 들어가는 생각 사(思)자는 '머리(囟→田)와 마음(心)으로 생각하다'는 뜻입니다. 이후 '그리워하다'는 뜻도 생겼습니다. 상사병(相思病)은 '상대방(相對方)을 그리워하여(思) 생긴 병(病)'이고, 〈사모곡(思母曲)〉은 '어머니(母)를 그리워하는(思) 노래(曲)'로, 작가와 만든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려가요입니다. 〈사미인곡(思美人曲)〉은 '미인(美人)을 그리워하며(思) 부르는 노래(曲)'로, 조선 선조 때 송강 정철(鄭澈, 1536~1593년)이 고향인 창평으로 유배를 가서 임금에 대한 간절한 충정을 한 여인이 지아비를 사모하는 마음에 비유하면서 우의적으로 표현하였습니다.

생각 상(想)자는 '상대(相)를 마음(心)으로 생각하다'는 뜻입니다. 사상(思想)은 '생각(思)과 생각(想)'이란 뜻으로, 어떠한 대상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구체적인 생각을 말합니다.

생각 념(念)자는 원래 '지금(今) 마음(心)에 두다'는 뜻입니다. 이후 '마음에 두다→생각하다→(마음에 두도록) 기억하다→외우다→읊다→암송하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상념(想念)은 '생각(想)과 생각(念)'이란 뜻으로, 마음에 떠오르는 생각을 말합니다. 염불(念佛)은 '부처님의 이름이나 불경(佛)을 외우다(念)'는 뜻입니다. 원효대사의 정토신앙에서는 부처의 이름을 부르면 반드시 극락(極樂)에 간다고 합니다. 주로 부처님의 이름인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이나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을 욉니다.

생각 려(慮)자는 배려(配慮), 염려(念慮), 고려(考慮) 등에 사용됩니다. 조불려석(朝不慮夕)은 '아침(朝)에 저녁(夕) 일을 생각하지(慮) 못한다(不)'는 뜻으로, 앞일을 돌아볼 겨를이 없음을 일컫는 말입니다.

생각할 억(憶)자는 '마음(忄)으로 뜻(意)을 잊지 않고 생각하다'는 뜻입니다. 이후 '(잊지 않고) 생각하다→(잊지 않고) 기억(記憶)하다→(잊지 않고) 추억(追憶)하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생각할 유(惟)자는 '오직'이란 뜻도 함께 가지고 있습니다. 사유(思惟)는 '생각하고(思) 생각하다(惟)'는 뜻입니다.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은 '반(半)만 책상다리(跏)를 하고 사유(思惟)하는 상(像)'이란 뜻으로, 주로 관음보살상이나 미륵보살상에 많습니다. 유독(惟獨)은 '오직(惟) 홀로(獨)'라는 뜻이고, 유일(惟一)은 오직(惟) 하나(一)'라는 뜻입니다.

[사진] 반가사유상(半跏思惟像)

- 뜻과 느낌
▶ 정(情:情:) : (마음의) 뜻 정, 마음 심(忄) + [푸를 청(靑)→정]
▶ 지(志:志:) : (마음의) 뜻 지, 마음 심(心) + [갈 지(之→士)]
▶ 의(意:意:) : (마음의) 뜻 의, 마음 심(心) + [소리 음(音)→의]
▶ 감(感:感:) : (마음으로) 느낄 감, 마음 심(心) + [다 함(咸)→감]

뜻 정(情)자는 '푸른(靑) 마음(忄), 즉 순수하고 타고난 대로의 본성(本性)'을 말합니다. 이후 '본성(本性)→마음의 작용→뜻→(본성과 같은) 진상→상태→(본성대로의) 욕망→사랑'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감정(感情), 애정(愛情), 정열(情熱), 정서(情緖) 등에서는 마음의 작용이나 뜻을, 정세(情勢), 정보(情報), 사정(事情) 등에서는 진상이나 상태를, 욕정(欲情/慾情), 정부(情婦). 정사(情事) 등에서는 욕망이나 사랑을 뜻합니다.

뜻 지(志)자는 '마음(心) 가는(之→士) 바가 뜻이다'는 뜻입니다. 또 '뜻이나 생각을 기록하다' 혹은 '기록한 책'이란 뜻도 있습니다. 《삼국지(三國志)》, 《수호지(水滸志)》, 《택리지(擇里志)》 등이 그러한 예입니다.

뜻 의(意)자는 '사람이 말하는 소리(音)가 곧 마음(心)의 뜻이다'는 뜻입니다. 또 '마음(心)의 소리(音)가 곧 뜻이다'고 해석하기도 합니다. 의지(意志)는 '뜻(意)과 뜻(志)'이란 뜻으로, 어떠한 일을 이루고자 하는 마음을 이르고, 의사(意思)는 '뜻(意)과 생각(思)'이란 뜻으로, 마음먹은 생각을 이르는 말입니다. '의외의 성적'에서 의외(意外)는 '뜻(意) 밖(外)'이라는 뜻입니다.

감각(感覺), 감정(感情), 감동(感動) 등에 들어가는 느낄 감(感)자는 '마음(心)으로 모두 다(咸) 느끼다'는 뜻입니다. 터치 폰(touch phone)에서 감압식(感壓式)은 '압력(壓力)을 느끼면(感) 반응하는 방식(式)'이고, 정전식(靜電式)은 '손가락 끝에 흐르는 정전기(靜電氣)를 인식해 반응하는 방식(式)'입니다. 전기의 전달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정전식이 빨리 반응하지만, 볼펜 등 다른 사물에는 잘 반응하지 않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 기쁨
▶ 열(悅:悦:) : (마음이) 기쁠 열, 마음 심(忄) + [기뻐할 열(兌)]
▶ 경(慶:庆:) : 경사 경, 마음 심(心) + 사슴 록(鹿) + 천천히걸을 쇠(夊)
▶ 쾌(快:快:) : (마음이) 쾌할 쾌, 마음 심(忄) + [정할 쾌(夬)]
▶ 유(愉:愉:) : 즐거울 유, 마음 심(忄) + [성 유(兪)]
▶ 유(愈:愈:) : 더욱 유, 마음 심(心) + [성 유(兪)]

기쁠 열(悅)자에 들어가는 기뻐할 열(兌)자는 입을 강조한 사람(兄)에 웃을 때 생기는 입가의 주름(八)을 추가하여 '기쁘다'는 뜻을 만들었습니다. 나중에 원래의 뜻을 강조하기 위해 마음 심(忄)자가 추가되었습니다.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는 '남자(男)와 여자(女)가 서로(相) 기뻐함(悅)을 읊은 노래(詞)'로, 남녀 간의 뜨거운 사랑을 노래하는 가사를 지칭합니다. 고려가요 중 〈서경별곡(西京別曲)〉, 〈쌍화점(雙花店)〉, 〈이상곡(履霜曲)〉 등이 대표적인 노래입니다.

옛 중국에서는 결혼식과 같은 경사로운 일(慶事)에 사슴가죽을 선물로 가지고 갔습니다. 경사 경(慶)자는 '축하하는 마음(心)으로 경사로운 일에 가는데(夊), 사슴(鹿)을 선물로 가지고 가다'는 뜻입니다. 국경일(國慶日)을 '나라(國)의 경사(慶)를 기념하는 날(日)'로, 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등이 있습니다.

쾌할 쾌(快)자는 '마음(忄)을 정하니까(夬) 시원하고, 즐겁고, 상쾌하다'는 뜻입니다. '유쾌-상쾌-통쾌'의 유쾌(愉快)는 '즐겁게(愉) 상쾌하며(快)', 상쾌(爽快)는 '시원하게(爽) 상쾌하며(快)', 통쾌(痛快)는 '몹시(痛) 상쾌하다(快)'는 뜻입니다.

즐거울 유(愉)자와 더욱 유(愈)자는 마음 심(心/忄)자에 성 유(兪)자가 합쳐진 글자로, 둘 다 '마음(心/忄)이 즐겁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중에서 유(愈)자는 나중에 가차되어 '점점 더, 더욱'이란 뜻이 생겼습니다. 또 유(愈)자는 사람 이름에 사용됩니다. 중국 당송 팔대가의 제일인자인 한유(韓愈)가 그런 예입니다.

- 사랑과 그리움
▶ 애(愛:爱:) : (마음의) 사랑 애, 손톱 조(爪) + 덮을 멱(冖) + 마음 심(心) + 천천히걸을 쇠(夊)
▶ 자(慈:慈:) : (마음의) 사랑 자, 마음 심(心) + [검을 자(玆)]
▶ 련(戀:恋:恋) : (마음으로) 사모할 련, 마음 심(心) + [어지러울 련(䜌)]
▶ 모(慕:慕:) : (마음으로) 사모할 모, 마음 심(心) + [없을 막(莫)→모]

사랑 애(愛)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입을 크게 벌린(爪) 사람(人→冖)이 가슴의 심장(心)이 강조된 채로 걸어가는(夊) 모습입니다. 손톱 조(爪)자는 입을 벌린 얼굴의 모습이 변한 것으로, 사랑에 넋이 빠진 모습을 강조하였습니다. 서양에서 사랑을 표시하는데 하트(heart: 심장)를 사용하듯이, 사랑 애(愛)자에도 심장(心)이 들어 있습니다. 중국 간체자에서는 아랫 부분을 벗 우(友)자로 바꾸었습니다. 경천애인(敬天愛人)은 '하늘(天)을 공경(敬)하고 사람(人)을 사랑하다(愛)'는 뜻입니다. 우애(友愛)는 '친구(友) 간의 사랑(愛)'이란 뜻이지만, '형제 간의 사랑'이란 뜻도 있습니다.

사랑 자(慈)자는 '사랑을 베푸는 어머니'라는 뜻도 있습니다. 남의 어머니를 높이 이르는 자당(慈堂)이 그러한 예입니다. 자비(慈悲)는 '사랑하고(慈) 불쌍히(悲) 여기는 마음'이고, 자선(慈善)은 '사랑(慈)과 선의(善)를 베풀다'는 뜻입니다.

사모할 련(戀)자는 '다른 사람을 사모하면 마음(心)이 어지럽다(䜌)'는 뜻으로 만든 글자입니다. 연인(戀人)은 '사모하는(戀) 사람(人)'이고, 연애편지(戀愛片紙)는 '사모하고(戀) 사랑하는(愛) 사람 사이에 주고받는 편지'이며, 비련(悲戀)은 '슬프게(悲) 끝나는 연애(戀愛)'입니다. ’목숨에 연연하다’의 연연(戀戀)은 ‘사모하고(戀) 사모하다(戀)’는 뜻으로, 집착하여 미련을 가진다는 의미입니다.

사모(思慕), 연모(戀慕), 애모(愛慕) 등에 들어가는 사모할 모(慕)자는 '보고 싶은 사람이 가까이 없으니(莫) 마음(心)으로 그리워하다'는 뜻입니다.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는 '죽지랑(竹旨郞)을 사모하는(慕) 노래(歌)'라는 뜻으로, 신라 효소왕 때 화랑 득오가 자기가 모시던 죽지랑이 죽자 그를 그리워하며 읊은 향가(鄕歌)입니다. 추모회(追慕會)는 ‘죽은 사람을 사모하고(追) 사모하기(慕) 위한 모임(會)’입니다. 따를 추(追)자는 ‘사모하다’는 뜻도 있습니다.

- 부끄러움
▶ 괴(愧:愧:) : (마음이) 부끄러울 괴, 마음 심(心) + [귀신 귀(鬼)→괴]
▶ 참(慙:惭:) : (마음으로) 부끄러워할 참, 마음 심(心) + [벨 참(斬)]
▶ 치(恥:耻:耻) : (마음이) 부끄러울 치, 귀 이(耳) + 마음 심(心)

부끄러울 괴(愧)자는 '죽은 사람의 넋인 귀신(鬼)이 우리들 마음(心)을 모두 들여다보니 부끄럽다'는 뜻입니다.자괴지심(自愧之心)은 '스스로(自) 부끄러워하는(愧) 마음(心)'입니다.

부끄러워할 참(慙)자는 '참형(斬刑: 목을 베어 죽이는 형벌)을 당하니 마음(心)이 부끄럽다'는 뜻입니다. 참회(慙悔)는 '부끄러워하며(慙) 뉘우치다(悔)'는 뜻입니다.

부끄러울 치(恥)자는 '마음(心)이 부끄러우면 귀(耳)가 빨개지다'는 뜻으로 만든 글자입니다. '정말 치사하다'에서 치사(恥事)는 '부끄러운(恥) 일(事)'입니다. 후안무치(厚顔無恥)는 '얼굴(顔)이 두껍고(厚) 부끄러움(恥)이 없다(無)'라는 뜻으로, 뻔뻔스러워 부끄러워할 줄 모른다는 뜻입니다.

- 슬픔과 연민
▶ 비(悲:悲:) : (마음의) 슬플 비, 마음 심(心) + [아닐 비(非)]
▶ 개(慨:慨:) : (마음으로) 슬퍼할 개, 마음 심(忄) + [이미 기(旣)→개]
▶ 련(憐:怜:) : (마음으로) 불쌍할 련, 마음 심(忄) + [도깨비불 린(粦)→련]
▶ 민(憫:悯:) : (마음으로) 불쌍히여길 민, 마음 심(忄) + [근심할 민(閔)]

슬플 비(悲)자는 '마음(心)이 기쁘지 않고(非) 슬프다'는 뜻입니다. 비극(悲劇)은 '슬픈(悲) 연극(劇)'이란 뜻과 함께, 인생에서 일어나는 비참(悲慘)한 사건을 뜻하기도 합니다. 일희일비(一喜一悲)는 ‘한 번 기쁘고 번 슬프다’는 뜻으로, 기쁜 일과 슬픈 일이 번갈아 일어남을 말합니다. 애이불비(哀而不悲)는 ‘슬프지만(哀而) 슬프지(悲) 않다(不)’는 뜻으로, 속으로는 슬프면서 겉으로는 슬프지 않은 체함하는 것을 말합니다.

슬퍼할 개(慨)자는 '좋은 시절이 이미(旣) 지나가 버려 마음(忄)이 슬프다, 분하다, 탄식하다'는 뜻입니다. 개탄(慨歎)은 '분하게(慨) 여겨 탄식하다(歎)'는 뜻입니다. 감개무량(感慨無量)은 '매우 감격(感激)하여 탄식함(慨)을 이루 헤아릴(量) 수 없다(無)'는 뜻입니다.

불쌍할 련(憐)자는 '마음(忄)으로 이웃(隣→粦)을 불쌍히 여기다'는 뜻입니다. 동병상련(同病相憐)은 '같은(同) 병(病)의 환자끼리 서로 가엾게(相) 여기다(憐)'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동정하고 도운다는 의미입니다. ‘가련한 신세’의 가련(可憐)은 ‘가히(可) 슬프다(憐)’는 뜻으로, 가엾고 불쌍하다는 의미입니다.

불쌍히 여길 민(憫)자는 원래 '마음(忄)으로 근심하다(閔)'는 뜻입니다. 이후 '근심하다→고민하다→가엾게 생각하다→불쌍히 여기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연민(憐憫)은 '불쌍하고(憐) 불쌍하게 여기다(憫)'는 뜻입니다.

- 근심과 두려움
▶ 수(愁:愁:) : (마음의) 근심 수, 마음 심(心) + [가을 추(秋)→수]
▶ 환(患:患:) : (마음의) 근심 환, 마음 심(心) + [꿸 관(串)→환]
▶ 우(憂:忧:) : (마음의) 근심 우, 머리 혈(頁) + 마음 심(心) + 천천히걸을 쇠(夊)
▶ 공(恐:恐:) : (마음이) 두려울 공, 마음 심(心) + [조심스러울 공(巩)]
▶ 구(懼:惧:) : (마음이) 두려울 구, 마음 심(忄) + [볼 구(瞿)]

근심 수(愁)자는 '가을(秋)이 되면 다가올 추운 겨울 때문에 마음(心)이 근심스럽다'는 뜻입니다.

근심 환(患)자는 원래 '심장(心)을 꿰뚫어(串) 아프다'는 뜻입니다. 이후 '아프다→병(病)→재앙(災殃)→근심하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환자(患者)는 '아픈(患) 사람(者)'이고, 질환(疾患)은 '병(疾)과 병(患)'이란 뜻이며,환란(患亂)은 '재앙(患)과 난리(亂)'입니다. 유비무환(有備無患)은 '준비(備)가 되어 있으면(有), 근심(患)이 없다(無)'는 뜻입니다.

근심 우(憂)자는 머리(頁)와 마음(心)으로 근심하며 천천히 걸어가는(夊) 모습입니다. 식자우환(識字憂患)은 '글자(字)를 아는(識) 것이 오히려 근심(憂)과 근심(患)이 되다'는 뜻으로, 차라리 모르는 편이 낫거나, 알기는 알아도 똑바로 잘 알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오히려 걱정거리라는 뜻입니다.

두려울 공(恐)자는 '두려우면 마음(心)이 조심스럽다(巩)'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공룡(恐龍)은 '두려운(恐) 용(龍)'이란 뜻으로, 중생대에 번성하였던 거대한 파충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화석에 의하여 400여 종 이상이 알려져 있습니다. 공황(恐慌)은 '두려움(恐)에 질려 다급하다(慌)'는 뜻으로, 경제에서는 경제 혼란 현상을 말합니다.

두려울 구(懼)자에 들어 있는 볼 구(瞿)자는 '두려움에 떨며 두 눈(目目)으로 주위를 둘러보고 있는 새(隹)'의 모습에서 '보다'는 뜻이 생겼습니다. 두려울 구(懼)자는 '이렇게 보고(瞿) 있는 새의 마음(忄)이 두렵다'는 뜻입니다. '송구스럽다'의 송구(悚懼)는 '죄송(悚)하고 두려운(懼) 마음이 거북하다'는 뜻입니다.

- 미움과 싫어함
▶ 증(憎:憎:) : (마음으로) 미워할 증, 마음 심(忄) + [일찍/거듭 증(曾)]
▶ 원(怨:怨:) : (마음으로) 원망할 원, 마음 심(心) + [누워딩굴 원(夗)]
▶ 한(恨:恨:) : (마음으로) 한할 한, 마음 심(忄) + [괘이름 간(艮)→한]
▶ 기(忌:忌:) : (마음이) 꺼릴 기, 마음 심(心) + [몸 기(己)]

미워할 증(憎)자는 '미워하는 마음(忄)이 거듭하여(曾) 증가하다'는 뜻이 담겨져 있습니다. 애증(愛憎)은 '사랑(愛)과 미움(憎)'이란 뜻입니다.

원수(怨讐), 원한(怨恨), 원망(怨望), 원성(怨聲) 등에 사용되는 원망할 원(怨)자는 '마음(心)으로 원망하다'는 뜻입니다. 〈원가(怨歌)〉는 '원망하는(怨) 노래(歌)'라는 뜻으로, 신라 때의 승려 신충(信忠)이 737년에 지은 향가입니다. 한때 친했던 자신을 잊어버린 왕을 원망하는 노래입니다.

한할 한(恨)자에 들어가는 괘이름 간(艮)자는 사람(人)이 눈(目)을 뒤로 향한 모양으로 '외면(外面)하다, 배신하다' 등의 뜻이 있습니다. 따라서 한할 한(恨)자는 원래 '외면하거나 배신하는(艮) 사람을 마음(忄)으로 미워하다'는 뜻입니다. 이후 '미워하다→원망스럽다→한하다→원통하다→후회하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원한(怨恨)은 '원망하고(怨) 미워하다(恨)'는 뜻이고, 한탄(恨歎)은 '한스럽게(恨) 탄식하다(歎)'는 뜻이고, 통한(痛恨)은 '가슴 아프게(痛) 원통하다(恨)'는 뜻이고, 회한(悔恨)은 '뉘우치고(悔) 후회하다(恨)'는 뜻입니다.

꺼릴 기(忌)자는 '몸(己)과 마음(心)이 모두 꺼리다'는 뜻입니다. 이후 '꺼리다→싫어하다→미워하다→시기(猜忌)하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기일(忌日)은 '꺼리는(忌) 날(日)'이란 뜻으로, 조상이 죽은 날을 말하며, 기제사(忌祭祀)는 '기일(忌日)에 지내는 조상의 제사(祭祀)'입니다. 병역기피(兵役忌避)는 '병역(兵役)을 꺼리어(忌) 피하다(避)'는 뜻으로, 군대를 가지 않으려고 하는 일을 말합니다.

- 괴로움과 분노
▶ 뇌(惱:恼:悩) : (마음이) 괴로워할 뇌, 마음 심(忄) + 내 천(巛) + 정수리 신(囟)
▶ 참(慘:惨:惨) : (마음이) 참혹할 참, 마음 심(忄) + [참여할 참(參)]
▶ 분(憤:愤:) : (마음이) 분할 분, 마음 심(忄) + [클 분(賁)]
▶ 노(怒:怒:) : (마음으로) 성낼 노, 마음 심(心) + [종 노(奴)]

고뇌(苦惱), 번뇌(煩惱) 등에 들어가는 괴로워할 뇌(惱)자는 머리 모양의 상형인 정수리 신(囟)자와 그 위에 머리털(巛)이 나 있는 머리에, 마음 심(忄)자를 추가한 글자로, '머리(囟)와 마음(忄)으로 괴로워하다'는 뜻입니다. 마음 심(忄)자 대신 고기 육(肉/月)자가 들어가면 뇌 뇌(腦)자가 됩니다. 백팔번뇌(百八煩惱)는 '백팔(百八) 가지의 번거로운(煩) 괴로움(惱)'이라는 뜻의 불교에서 나온 말로 사람이 가지고 있는 108 가지의 번뇌(煩惱)를 말합니다. 또 1926년에 최남선이 지은 우리나라 최초의 개인 시조집의 이름이기도 합니다. 마음 심(忄)자 대신 고기 육(肉/月)자가 들어가면 뇌 뇌(腦)자가 됩니다.

참혹할 참(慘)자는 '마음(忄)이 참혹(慘酷)하다'는 뜻입니다. 참패(慘敗)는 '참혹하게(慘) 패하다(敗)'는 뜻이고,참사(慘事)는 '참혹한(慘) 일(事)'입니다.

분할 분(憤)자는 '분하면 마음(忄)이 크게(賁) 솟아오르다'는 뜻으로 만든 글자입니다. 비분강개(悲憤慷慨)는 '슬프고(悲) 분하고(憤) 슬프고(慷) 슬프다(慨)'는 뜻입니다.

성낼 노(怒)자는 '종(奴)들은 마음(心)속으로 항상 성을 낸다'는 뜻입니다. 잡혀 온 것만 해도 분한데, 평생 일만 해야 하니까 성을 내는 것은 당연합니다. 분노(憤怒)는 '분하여(憤) 성을 내다(怒)'는 뜻입니다. 천인공노(天人共怒)는 '하늘(天)과 사람(人)이 함께(共) 성을 내다(怒)'는 뜻으로, 누구나 분노할 만큼 증오스럽다는 뜻입니다.

- 기타 감정
▶ 녕(寧:宁:寍) : (마음이) 편안할 녕, 집 면(宀) + 마음 심(心) + 그릇 명(皿) + [장정 정(丁)→녕]
▶ 괴(怪:怪:) : (마음이) 기이할 괴, 마음 심(忄) + [힘쓸 골(圣)→괴]
▶ 욕(慾:欲:) : (마음의) 욕심 욕, 마음 심(心) + [하고자할 욕(欲)]
▶ 급(急:急:) : (마음이) 급할 급, 마음 심(心) + [미칠 급(及→刍)]

편안할 녕(寧)자는 '집(宀)에서 그릇(皿)의 음식을 먹고 있으니 마음(心)이 편안하다'는 뜻입니다. 안녕(安寧)은 '편안하고(安) 편안하다(寧)'는 뜻입니다. 수복강녕(壽福康寧)은 '오래 살고(壽) 복(福)을 누리며 건강(康)하고 편안하게(寧) 사는 것'으로, 옛 사람들이 가장 원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옷이나 벽에 이 글자를 새기거나 붙여 놓았습니다.

기이할 괴(怪)자에 들어가는 힘쓸 골(圣)자는 '땅(土)을 손(又)으로 갈다→힘쓰다' 등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여기에서는 소리로 사용됩니다. 괴물(怪物)은 '기이한(怪) 물건(物件)'입니다. 괴질(怪疾)은 '원인을 알 수 없는 기이한(怪) 병(疾)'이란 뜻으로, 전염병이나 콜레라를 말합니다. 여고괴담(女高怪談)은 '여자 고등학교(女高)의 기이한(怪) 이야기(談)'라는 뜻입니다.

욕심 욕(慾)자는 '하고자 하는(欲) '마음(心)이 욕심(慾心)이다'는 뜻입니다. 사리사욕(私利私慾)은 '사사로운(私) 이익(利)과 사사로운(私) 욕심(慾)'이란 뜻으로, 개인의 사사로운 이익과 욕심을 의미합니다. 욕구불만(慾求不滿)은 '욕심(慾)과 구하는(求) 것이 채워지지(滿) 않는다(不)'는 뜻입니다. 오욕(五慾)은 '인간의 다섯(五) 가지 욕망(慾)'으로, 재물욕(財物慾), 색욕(色慾), 식욕(食慾), 명예욕(名譽慾), 수면욕(睡眠慾)을 말합니다.

급할 급(急)자에 들어가는 미칠 급(及→刍)자는 '앞에서 도망가는 사람(人)을 손(又, 彐)으로 잡다, 미치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급할 급(急)자는 '도망가는 사람이나 잡는 사람의 마음(心)이 급하다'는 뜻입니다. 급성질환(急性疾患)은 '급한(急) 성질(性)의 질환(疾患)'으로, 급성맹장염 같이 급히 일어나는 성질을 가진 병(病)입니다.

- 마음의 작용
▶ 회(悔:悔:) : (마음으로) 뉘우칠 회, 마음 심(忄) + [매양 매(每)→회]
▶ 서(恕:恕:) : (마음으로) 용서할 서, 마음 심(心) + 같을 여(如)
▶ 석(惜:惜:) : (마음으로) 아낄 석, 마음 심(忄) + [옛 석(昔)]
▶ 신(愼:慎:) : (마음으로) 삼갈 신, 마음 심(忄) + [참 진(眞)→신]
▶ 오(悟:悟:) : (마음으로) 깨달을 오, 마음 심(忄) + [나 오(吾)]
▶ 위(慰:慰:) : (마음으로) 위로할 위, 마음 심(心) + [벼슬이름 위(尉)]

뉘우칠 회(悔)자는 '마음(忄)으로 뉘우치다'는 뜻입니다. 후회(後悔)는 '지난 뒤(後)에 뉘우치다(悔)'는 뜻입니다.회개(悔改)는 '잘못을 뉘우치고(悔) 고치다(改)'는 뜻입니다.

용서할 서(恕)자에 들어가는 같을 여(如)자는 원래 '여자(女)가 주인의 말(口)에 따르다, 순종하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용서할 서(恕)자는 '순종하니까(如) 마음(心)으로 용서(容恕)하다'는 뜻입니다.

아낄 석(惜)자는 원래 '지나간 옛날(昔)을 마음으로(忄) 아쉬워하다'는 뜻입니다. 이후 '아쉬워하다→아깝다→아끼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석별(惜別)은 '이별(離別)을 아쉬워하다(惜)'는 뜻이며, 석패(惜敗)는 '작은 점수 차로 아깝게(惜) 패배하다(敗)'는 뜻이고, 매점매석(買占賣惜)은 '물건을 모두 차지하여(占) 사두었다가(買) 아껴서(惜) 팔다(賣)'는 뜻으로, 물건을 필요 이상으로 사들여 물가가 오른 뒤 다시 팔아 이익을 챙기는 일을 말합니다. 점 점(占)자는 '차지하다, 점령(占領)하다'는 뜻도 있습니다.

참 진(眞)자와 마음 심(忄/心)자가 합쳐진 삼갈 신(愼)자는 '진심(眞心)으로 삼가다'는 뜻입니다. 신중(愼重)은 '삼가고(愼) 무겁게(重) 하다'는 뜻으로, 매우 조심스럽다는 의미입니다. 근신(謹愼)은 '말이나 행동을 삼가고(謹) 삼가다(愼)'는 뜻과 함께, 벌(罰)로 일정 기간 동안 출근이나 등교를 하지 않고 말이나 행동을 삼가는 것을 일컫습니다.

깨달을 오(悟)자는 '글을 읽으면서(吾) 마음(忄)으로 깨닫다'는 뜻입니다. 나 오(吾)자의 원래 뜻은 글 읽는 소리입니다. 대오각성(大悟覺醒)은 '크게(大) 깨닫고(悟), 깨닫고(覺), 깨닫다(醒)'는 뜻입니다. 돈오점수(頓悟漸修)는 '갑자기(頓) 깨달은(悟) 후 점진적으로(漸) 수행하다(修)'는 뜻으로, 불교에서 깨닫고 나서도 점진적으로 수행하여야 깨달음의 경지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돈오돈수(頓悟頓修)는 ’갑자기(頓) 깨닫고(悟) 갑자기(頓) 닦는다(修)’는 뜻으로, 단박에 깨쳐서 더 이상 수행할 것이 없는 경지에 도달하는 것입니다.

위로할 위(慰)자에 들어가는 벼슬이름 위(尉)자는 사람(尸)에게 불(火→小)로 달군 연장(二)을 손(寸)으로 잡고, 사람 몸에 난 종기를 지지는 모습입니다. 종기를 치료해 주고 위로해 준다고 해서 원래 의미는 '위로하다'는 뜻이었으나, 나중에 벼슬 이름으로 사용되자 원래의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마음 심(心)자를 붙여 위로할 위(慰)자가 되었습니다. 위로(慰勞), 위문(慰問), 위안(慰安) 등에 사용됩니다. 종군위안부(從軍慰安婦)는 '자발적으로 군대(軍)를 따라 다니며(從) 군인을 위로해 주고(慰) 편안하게(安) 해주는 여자(婦)'라는 뜻으로, 강제로 성노예 생활을 해야 했던 일본군 위안부의 실상을 감추려고 일본이 만들어낸 용어입니다. 현재 공식적인 용어로는 '일본군 위안부'입니다.

- 사람의 성품(1)
▶ 성(性:性:) : 성품 성, 마음 심(忄) + [날 생(生)→성]
▶ 악(惡:恶:悪) : (마음이) 악할 악, 싫을 오, 마음 심(心) + [버금 아(亞)→악,오]
▶ 공(恭:恭:) : (마음이) 공손할 공, 마음 심(心) + [함께 공(共)]
▶ 혜(慧:慧:) : (마음의) 지혜 혜, 마음 심(心) + [비/영리할 혜(彗)]

성품 성(性)자는 '태어날(生) 때 가지는 마음(忄)이 사람의 천성(天性)인 성품(性品)이다'는 뜻입니다. 이후 '성품(性品)→바탕→성질(性質)→성별(性別)→남녀(男女)'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성선설(性善說)은 '사람이 태어날 때의 성품(性)은 선(善)하다고 생각하는 학설(說)'로, 고대 중국의 유학자 맹자(孟子)가 주장한 학설입니다.

악인(惡人), 악마(惡魔), 악당(惡黨) 등에 들어가는 악할 악(惡)자 혹은 싫을 오(惡)자는 '마음(心)이 악하다'는 뜻으로, '악한 마음(心)이 싫다'는 뜻도 있습니다. 성악설(性惡說)은 '사람이 태어날 때의 성품(性)은 악(惡)하다고 생각하는 학설(說)'로, 고대 중국의 유학자 순자(荀子)가 주장한 학설입니다. 악당(惡黨)은 '악한(惡) 무리(黨)'이고, 증오(憎惡)는 '미워하고(憎) 싫어하다(惡)'는 뜻입니다.

공손할 공(恭)자에 들어가는 함께 공(共)자는 두 손(廾)으로 함께 어떤 물건을 바치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 모습에서 '함께, 같이, 바치다, 공손하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나중에 '(마음이) 공손하다'는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마음 심(心)자가 추가되었습니다. 글자 아래에 있는 것이 마음 심(心)자의 변형 자입니다. 공경(恭敬), 공대(恭待), 공손(恭遜) 등에 사용됩니다.

지혜(智慧), 혜안(慧眼) 등에 들어가는 지혜 혜(慧)자는 '영리한(彗) 마음(心)이 지혜롭다'는 뜻입니다. 비 혜(彗)자는 '영리하다, 총명하다'는 뜻도 있습니다. 혜안(慧眼)은 '지혜로운(慧) 눈(眼)'이란 뜻으로, 사물을 꿰뚫어 보는 안목과 식견을 말합니다.

- 사람의 성품(2)
▶ 자(恣:恣:) : (마음이) 방자할 자, 마음 심(心) + [버금 차(次)→자]
▶ 우(愚:愚:) : (마음이) 어리석을 우, 마음 심(心) + [원숭이 우(禺)]
▶ 만(慢:慢:) : (마음이) 거만할 만, 마음 심(忄) + [길게 끌 만(曼)]
▶ 태(怠:怠:) : (마음이) 게으를 태, 마음 심(心) + [별 태(台)]

방자할 자(恣)자의 방자(放恣)는 '어려워하거나 삼가는 태도가 없이 건방지거나 멋대로 하다'는 뜻입니다. 방자한 것은 마음에서 기인하니까, 마음 심(心)자가 들어갑니다. '나쁜 짓을 서슴없이 자행하다'에서 자행(恣行)은 '멋대로(恣) 행하다(行)'는 뜻입니다.

어리석을 우(愚)자는 '원숭이(禺)의 마음(心)이 어리석다'는 뜻입니다. 우공이산(愚公移山)은 '어리석은(愚) 사람(公)이 산(山)을 옮기다(移)'라는 뜻으로, 아무리 우직하다 해도 쉬지 않고 노력하면 큰일도 해낼 수 있음을 일컫습니다. 만우절(萬愚節)은 '많은(萬) 사람이 바보(愚)가 되는 명절(節)'입니다.

거만할 만(慢)자는 '일을 항상 길게 끌어서(曼) 하는 것은 마음(忄)이 게으르기 때문이다'는 뜻으로, 원래 '게으르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후 '게으르다→느리다→방종하다→거만하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태만(怠慢)은 '게으르고(怠) 게으르다(慢)'는 뜻이고, 만성질환(慢性疾患)은 '느린(慢) 성질(性)의 질환(疾患)'으로, 잘 낫지도 않으며 오래 끄는 병(病)입니다. 급성질환(急性疾患)의 반대입니다. 오만(傲慢)은 '거만하고(傲) 거만하다(慢)'는 뜻입니다.

게으를 태(怠)자는 '마음(心)이 게으르다'는 뜻입니다. 태업(怠業)은 '일(業)을 게을리 하다(怠)'는 뜻으로, 겉으로는 일을 하지만 의도적으로 일을 게을리 하는 노동쟁의 행위의 하나입니다. '일(業)을 그만 두다(罷)'는 뜻의파업(罷業)보다 약한 노동쟁의 행위입니다. 과태료(過怠料)는 '지나친(過) 게으름(怠)에 대한 요금(料金)'입니다. 법률상의 의무 이행을 태만(怠慢)히 한 사람에게 벌(罰)로 부담하게 하는 돈으로, 벌금과 달리 형벌의 성질을 가지지 않는 법령 위반에 대하여 부과합니다. 예를 들어, 이사를 한 후 주민등록을 이전하지 않은 경우 과태료를 부과합니다. 이것은 형벌이 아니라 주민등록을 이전할 의무를 태만(怠慢)했기 때문입니다.

- 기타(1)
▶ 은(恩:恩:) : (마음의) 은혜 은, 마음 심(心) + [인할/의지할 인(因)→은]
▶ 혜(惠:惠:) : (마음의) 은혜 혜, 마음 심(心) + 오로지 전(專)
▶ 충(忠:忠:) : (마음의) 충성 충, 마음 심(心) + [가운데 중(中)→충]
▶ 간(懇:恳:) : (마음의) 정성 간, 마음 심(心) + [간절할 간(貇)]
▶ 관(慣:惯:) : (마음의) 버릇 관, 마음 심(忄) + [꿸/익숙할 관(貫)]

은혜 은(恩)자는 '의지하는(因) 사람에게 마음으로(心) 은혜를 느끼다'는 뜻입니다. 결초보은(結草報恩)은 '풀(草)을 묶어(結) 은혜(恩)를 갚다(報)'는 뜻으로, 죽어서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일컫는 말입니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로 '중국 춘추 시대에 풀을 묶어 놓아 적군이 탄 말이 걸려 넘어지게 하여 은혜를 갚았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합니다.

은혜 혜(惠)자는 '오로지(專) 한결같은 마음(心)으로 남에게 은혜(恩惠)를 베풀다'는 뜻입니다. 광혜원(廣惠院)은 '널리(廣) 은혜를 베푸는(惠) 집(院)'으로, 1885년(고종 22년)에 미국인 선교사 앨런의 주관 아래 세워진 한국 최초의 근대식 병원입니다. 이후 제중원(濟衆院: 중생들을 구제해 주는 집)으로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사진] 한국 최초의 근대식 병원인 광혜원(廣惠院)을 설립한 앨런(Allen, H.N.)

충성 충(忠)자는 원래 '마음(心)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가운데(中)에 있어서 공평하다'는 뜻입니다. 이후 '공평하다→정성스럽다→충성하다'는 뜻이 생겼습니다.충고(忠告)는 '정성스럽게(忠) 고하다(告)'는 뜻으로, 남의 잘못을 고치도록 진심으로 타이르는 것입니다. 충렬왕(忠烈王)은 '충성(忠)을 열렬하게(烈) 하는 왕(王)'이란 뜻으로, 고려 25대 왕입니다. 당시 원나라의 지배하에서 원나라에 충성한다는 뜻이 담겨 있는 이름입니다. 이후에도 충선왕(忠宣王, 26대), 충숙왕(忠肅王, 27대), 충혜왕(忠惠王, 29대), 충목왕(忠穆王, 29대), 충정왕(忠定王, 30대) 등 모두 충성 충(忠)자가 들어 있습니다. 하지만 31대 공민왕(恭愍王)은 원나라 위왕의 딸 노국공주와 결혼하였지만, 몽고의 연호와 관제를 없애고 고려의 제도를 복귀시키는 등 반원(反元) 정책을 펼쳤습니다.

간청(懇請), 간절(懇切) 등에 들어가는 정성 간(懇)자는 '마음(心)이 간절하니(貇) 정성스럽다'는 뜻입니다. 간청(懇請)은 '간절히(懇) 청하다(請)'는 뜻입니다. 간담회(懇談會)는 '마음을 터놓고 정성스럽게(懇) 이야기하는(談) 모임(會)'입니다.

버릇 관(慣)자는 '오랫동안 익숙해진(貫) 마음(忄)이 버릇이다'는 뜻입니다. 꿸 관(貫)자는 '꿰다→뚫다→통과하다→달성하다→익숙하다' 등의 뜻이 있습니다. 관성(慣性)은 '버릇(慣)처럼 계속 하려는 성질(性)'로, 물리학에서는 정지하고 있는 물체는 계속 정지하려고 하고, 움직이고 있는 물체는 계속 움직이려고 하는 성질을 말합니다. 관습법(慣習法)은 '사회에서 형성된 관행(慣行)이나 습관(習慣)이 굳어져서 법의 효력을 갖게 된 법(法)'입니다. 관용어(慣用語)는 '버릇(慣)처럼 사용하는(用) 말(語)'입니다. '죽다'라는 말을 '돌아가다' 혹은 '세상을 떠나다'고 표현하는데, 이와 같이 원래의 뜻과는 달리 습관(習慣)적으로 쓰는 말을 관용어라고 합니다.

- 기타(2)
▶ 망(忙:忙:) : (마음이) 바쁠 망, 마음 심(忄) + [망할 망(亡)]
▶ 망(忘:忘:) : (마음이) 잊을 망, 마음 심(心) + [망할 망(亡)]
▶ 혹(惑:惑:) : (마음이) 미혹할 혹, 마음 심(心) + [혹 혹(或)]
▶ 인(忍:忍:) : (마음으로) 참을 인, 마음 심(心) + [칼날 인(刃)]
▶ 홀(忽:忽:) : 갑자기 홀, 마음 심(心) + [말 물(勿)→홀]

잊을 망(忘)자와 바쁠 망(忙)자는 둘 다 마음 심(心/忄)자에 망할 망(亡)자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하나는 '마음(心)을 잊다(亡)'는 뜻이고, 다른 하나는 '마음(忄)을 잊어버릴(亡) 정도로 바쁘다'는 뜻입니다. 망우초(忘憂草)는 '근심(憂)을 잊게(忘) 해주는 풀(草)'이란 뜻으로, 담배를 이르는 말입니다. 망중한(忙中閑)은 '바쁜(忙) 중(中)에도 한가한(閑) 때'를 말하고, 공사다망(公私多忙)은 '공적인(公) 일과 사적인(私) 일로 많이(多) 바쁘다(忙)'는 뜻입니다.

의혹(疑惑), 현혹(眩惑), 유혹(誘惑) 등에 들어가는 미혹할 혹(惑)자는 '마음(心)이 혹(或)하는 것이 미혹(迷或)하다'는 뜻입니다.

참을 인(忍)자는 원래 '칼날(刃)을 심장(心)에 꽂을 정도로 잔인(殘忍)하다'는 뜻입니다. 이후 '잔인(殘忍)하다→(잔인함을) 견디다→참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인동초(忍冬草)는 '겨울(冬)을 참고(忍) 나는 풀(草)'이란 뜻으로, 겨우살이덩굴을 말합니다. 목불인견(目不忍見)은 '눈(目)으로 차마(忍) 볼(見) 수 없다(不)'는 뜻으로, 몹시 참혹하거나 처참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갑자기 홀(忽)자는 원래 '마음(心)에 두지 않다(勿)'는 뜻입니다. 이후 '마음에 두지 않다→소홀(疏忽)히 하다→잊다→문득 (잊다)→갑자기'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홀대(忽待)는 '소홀히(忽) 대접하다(待)'는 뜻이고, '인사도 없이 홀연히 떠났다'에서 홀연(忽然)은 '갑자기(忽) 그러하다(然)'라는 뜻입니다.

- 기타(3)
▶ 응(應:应:応) : (마음으로) 응할 응, 마음 심(心) + [매 응(鷹)]
▶ 식(息:息:) : 숨쉴 식, 마음 심(心) + 스스로 자(自)
▶ 회(懷:怀:懐) : (마음에) 품을 회, 마음 심(忄) + [그리워할 회(褱)]
▶ 항(恒:恒:) : 항상 항, 마음 심(忄) + [뻗칠 긍(亘)→항]
▶ 유(悠:悠:) : 멀 유, 마음 심(心) + [바 유(攸)]

우리나라의 매사냥은 고조선 때부터 있었고, 고려 시대에 응방(鷹坊)이라는 관청까지 두었습니다. 매사냥꾼은 매와 마음이 잘 통해야 합니다. 응할 응(應)자는 '사냥하는 매(鷹)가 사람의 마음(心)에 응하다'는 뜻입니다. 응답(應答), 대응(對應), 반응(反應) 등에 사용됩니다. 응인(應人)은 '매에 응하는(應) 사람(人)'이란 뜻으로, 매사냥꾼을 뜻합니다. 임기응변(臨機應變)은 '어떤 기회(機)에 임하면(臨), 대응하여(應) 변하다(變)'는 뜻으로, 그때그때 처한 상황에 맞추어 재빨리 그 자리에서 알맞게 대처하는 것을 이릅니다.

숨쉴 식(息)자는 '공기가 코(自)에서 (허파를 거쳐) 심장(心)으로 가다'는 뜻입니다. 이후 '숨 쉬다→(숨을 쉬면서) 쉬다→(숨 쉬며) 살다→번식하다→자식(子息)' 등의 뜻도 생겼습니다. 마식령산맥(馬息嶺山脈)은 '산이 너무 험해 말(馬)도 쉬어(息) 가는 고개(嶺)가 있는 산맥(山脈)'으로, 강원도와 황해도의 경계를 이루는 산맥입니다.

품을 회(懷)자는 '그리워하는(褱) 사람을 마음(忄)에 품다'는 뜻입니다. 방법적 회의(方法的懷疑)는 '확실한 진리에 이르기 위한 방법으로(方法的) 모든 것에 의심(疑)을 품다(懷)'는 뜻으로, 프랑스 철학자 데카르트(1596~1650년)가 확실한 진리에 이르기 위한 방법으로 모든 것(감각, 의식, 철학적 이론 등)을 먼저 의심스러운 거짓으로 단정하고, 의심할 수 없이 확실하다면 진리로 인정하였습니다. 데카르트는 자기 자신조차도 실제로 존재하는 것인지를 의심하게 되고, 결국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기게 됩니다.

[사진] 방법적회의(方法的懷疑)을 주장한 데카르트

항상 항(恒)자는 '마음(心)이 항상 변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항등식(恒等式)은 '항상(恒) 같은(等) 식(式)'으로, 등식(等式)에서 미지수의 값이 얼마이든 항상 같은 식입니다. 예를 들어 x+x=2x라고 하면 미지수 x가 얼마가 되든지 항상 양변이 같습니다. 항성(恒星)은 '위치가 항상(恒) 일정한 별(星)'로, 천구 위에서 위치를 바꾸지 않는 별입니다. 행성(行星), 위성(衛星), 혜성(彗星) 등을 제외한 별 모두가 항성입니다.

멀 유(悠)자는 원래 '마음(心)으로 근심하다'는 뜻입니다. 이후 '근심하다→생각하다→한가하다→아득하다→멀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유유자적(悠悠自適)은 '한가하고(悠) 한가하게(悠) 스스로(自) 즐기다(適)'는 뜻으로, 속세에 속박됨이 없이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마음 편히 지냄을 이르는 말입니다. '유구한 역사'에서 유구(悠久)는 '아득히 먼(悠) 오래(久)'란 뜻입니다.

- 기타(4)
▶ 헌(憲:宪:) : 법 헌, 해칠 해(害) + 눈 목(目/罒) + 마음 심(心)
▶ 은(隱:隐:隠) : 숨을 은, 언덕 부(阜/阝) + [숨길 은(㥯)]
▶ 현(懸:悬:) : 매달 현, 마음 심(心) + [고을 현(縣)]
▶ 태(態:态:) : 모양 태, 마음 심(心) + 능할 능(能)
▶ 징(懲:惩:) : 징계할 징, 마음 심(心) + [부를 징(徵)]

법 헌(憲)자는 죄수나 전쟁 포로의 한쪽 눈(罒)을 해(害)하여 애꾸눈을 만들었던 형벌(刑罰)에서 법(法)이라는 의미가 생겼습니다. 애꾸눈으로 만들어 노동력은 유지하면서 거리감을 없애 반항을 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나중에 '이런 법을 마음으로 지킨다'고 해서 마음 심(心)자가 추가되었습니다.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는 '헌법(憲)을 제정하고(立) 그 헌법에 따라 군주(君主)가 다스리는 제도(制)'입니다. 왕이 나라를 다스린다는 의미에서는 군주와 같지만, 의회에서 만든 헌법에 따라 다스린다는 점에서 왕이 마음대로 다스리는 절대군주제나 전제군주제와는 다릅니다. 이런 이유로 입헌군주제를 제한군주제라고도 합니다. 이러한 입헌군주제는 시민혁명 이후 막강한 군주의 권한을 제한하려는 과정에서 출현하였습니다.

숨을 은(隱)자에 들어가는 숨길 은(㥯=爪+工+彐+心)자는 두 손(爪, 彐) 사이에 무언가(工)를 숨기려는 마음(心)을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나중에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언덕 부(阝)자가 추가되었습니다. '언덕(阝) 뒤에 숨는다'라는 뜻입니다. 은인자중(隱忍自重)은 '괴로움을 숨기며(隱) 참고(忍) 스스로(自) 신중히(重) 하다'는 뜻입니다.

매달 현(懸)자에 들어가는 고을 현(縣)자는 나무(一)에 줄(糸)을 매어 꺼꾸로 된 머리(首→県)를 매단 모습입니다. 따라서 원래의 뜻은 사형수의 목을 잘라 높이 '매달다, 걸다'는 뜻입니다. 전시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이런 목은 주로 고을의 성문 앞에 달았고, 결국 현(縣)자는 고을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나중에 원래의 뜻을 살리기 위해 마음 심(心)가 추가되어 매달 현(懸)가 생겼습니다. 마음 심(心)자가 붙은 이유는 정확하지 않지만, 오랫동안 마음에 남아있는 것이 '마음에 매달려 있다'라고도 합니다. 현수교(懸垂橋)는 '매달려(懸) 드리워져(垂) 있는 다리(橋)'입니다. 현상금(懸賞金)은 '상으로(賞) 걸어(懸) 놓은 돈(金)'입니다.

[사진] 현수교(懸垂橋)로 만든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금문교(金門橋)

모양 태(態)자는 '능(能)히 일을 할 수 있는 자신에 찬 마음(心)이 얼굴이나 태도에 나타나다'는 데에서 '모양, 태도(態度)'라는 뜻이 생겼습니다. 변태(變態)는 '모양(態)이 변하다(變)'는 뜻으로, 장구벌레가 자라면 모기가 되고, 구더기는 파리, 송충이는 솔나방, 배추벌레는 나비가 되는 것처럼, 자라면서 모양이 완전히 변하는 것을 변태라고 합니다. 나비, 벌, 모기, 파리와 같이 유충(幼蟲: 애벌레)→번데기→성충(成蟲) 등, 3단계로 변하는 것을완전변태(完全變態)라 하고, 하루살이, 매미, 잠자리, 메뚜기, 바퀴벌레와 같이 유충(幼蟲)→성충(成蟲) 등 2단계로 변하는 것을 불완전변태(不完全變態)라 합니다. 성적으로 이상한 짓을 하는 사람을 보고 변태(變態)라고 하는데, 이때는 '상태(狀態)가 이상하게 변(變)하다'는 뜻입니다.

징계할 징(懲)자의 어원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다만, 글자 내에 칠 복(攵)자가 들어가 있는 것으로 보아 '매로 때리며(攵) 혼내다, 징계(懲戒)하다, 응징(膺懲)하다'는 뜻이 생겼을 것으로 짐작됩니다. 권선징악(勸善懲惡)은 '선(善)을 권하고(勸), 악(惡)을 징계하다(懲)'는 뜻으로, 《흥부전》과 같은 고대소설의 주제는 대부분 권선징악입니다. 징역(懲役)은 '징계하기(懲) 위해 부리다(役)'는 뜻으로, 감옥에 갇혀 있으면서 강제노역에 동원됩니다. 반면 금고(禁錮)는 '자유를 금(禁)하고 막다(錮)'는 뜻으로, 감옥에 갇혀 자유를 구속당하지만, 강제노역을 하지 않는 점에서 징역과 구별됩니다. 징역형은 보통 강도, 강간, 절도, 사기죄 등의 파렴치범에 과하여지고, 금고형은 정치범, 과실범 등에 주로 부과되는 형벌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