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인 공 장인 공(工)자에서 장인(匠人)은 손으로 물건을 만드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입니다. 장인 공(工)자에 대한 해석도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진흙을 바르고 고르는 데 사용되는 흙손, 진흙을 다지는 데 사용하는 도구, 목수가 사용하는 끌, 대장장이가 쇠를 벼리기 위한 모루 등이 그러한 예입니다. 어쨌든, 이후에 '일하는 도구→만들다→공업(工業)→기능(技能)→솜씨→뛰어나다→장인(匠人)' 등이 생겼습니다. 공장(工場)은 '물건(工)을 만드는 장소(場)'입니다. 장인 공(工)자는 부수임에도 불구하고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드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글자로는 교묘할교(巧)자 정도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로 사용됩니다.
■ 공으로 소리나는 경우
▶ [7/5] 空 빌 공 [중]空 [kōng] 구멍 혈(穴) + [장인 공(工)] ▶ [6/5] 功 공 공 [중]功 [gōng] 힘 력(力) + [장인 공(工)] ▶ [4/3] 攻 칠 공 [중]攻 [gōng] 칠 복(攵) + [장인 공(工)] ▶ [3/3] 貢 바칠 공 [중]贡 [gòng] 조개 패(貝) + [장인 공(工)] ▶ [3/2] 恐 두려울 공 [중]恐 [kǒng] 마음 심(心) + [조심스러울 공(巩)]
공간(空間), 공군(空軍), 공기(空氣), 공중(空中) 등에 들어가는 빌 공(空)자는 '굴이나 구멍(穴)의 안이 비어 있다'는 뜻입니다. 필기를 하는 데 사용하는 공책(空冊)은 '내용이 비어 있는(空) 책(冊)'이고, 공명첩(空名帖)은 '이름(名)을 적는 란이 비어(空) 있는 장부(帖)'로, 조선 시대에 돈이나 곡식을 바치는 사람에게 벼슬을 주던 임명장입니다. 이름을 적는 란을 비워두었다가 돈이나 곡식을 바치는 사람에게 즉석에서 이름을 적어 넣었습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국가 재정이 바닥나자, 국가에서는 공명첩을 발행하여 돈을 모아 가난한 백성을 구제하였습니다.
공 공(功)자는 '힘써(力) 싸워 공(功)을 세우다'는 뜻입니다. 공신전(功臣田)은 '공(功)을 세운 신하(臣)에게 지급한 밭(田)'을 말합니다. 조선 시대에 공(功)을 세운 사람에게 지급한 토지로, 세습이 되었습니다.
칠 공(攻)자는 '적을 쳐서(攵) 공격(攻擊)하다'는 뜻입니다. 원교근공(遠交近攻)은 '먼(遠) 나라와 사귀고(交), 가까운(近) 나라를 치다(攻)'는 뜻으로, 중국 전국 시대에 진나라의 정치가인 범수가 진나라 왕에게 권한 외교 정책입니다.
중국 주나라 때 있었던 봉건제도는 왕이 공신이나 친척들로 하여금 땅을 주고 다스리는 대신, 공물(貢物)을 바치게 하였습니다. 공물은 원래 지방의 특산물을 바쳤으나, 나중에 돈으로 바뀌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바칠 공(貢)자에는 조개 패(貝)자가 들어갑니다. 조개는 옛날에 화폐로 사용했기 떄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고종 31년(1894년)에는 공물을 돈으로 바치게 하는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하였습니다.
두려울 공(恐)자는 '두려우면 마음(心)이 조심스럽다(巩)'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공룡(恐龍)은 '두려운(恐) 용(龍)'이란 뜻으로, 중생대에 번성하였던 거대한 파충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화석에 의하여 400여 종 이상이 알려져 있습니다. 공황(恐慌)은 '두려움(恐)에 질려 다급하다(慌)'는 뜻으로, 경제에서는 경제 혼란의 현상을 말합니다.
■ 강으로 소리나는 경우
▶ [7/7] 江 강 강 [중]江 [jiāng] 물 수(氵) + [장인 공(工)→강] ▶ [1/2] 腔 빈속 강 [중]腔 [qiāng] 고기 육(肉/月) + [빌 공(空)→강]
강 강(江)자는 원래 양자 강(揚子江, 양쯔강)을 지칭하는 고유명사로, '강남(江南) 갔던 제비'를 말할 때 강남(江南)은 양자 강 남쪽을 일컫습니다. 양자 강은 길이가 약 6,300Km로 아시아에서 가장 큰 강으로, 중국 사람들은장강(長江)이라고 부릅니다. 서강대학교(西江大學校)는 '한강(江)의 서쪽(西)에 위치하는 대학교(大學校)'입니다.
빈속 강(腔)자는 사람의 몸(肉/月) 안에서 속이 비어(空) 있는 부분을 의미합니다. 강장동물(腔腸動物)은 '속이 비어 있는(腔) 창자(腸)를 가진 동물(動物)'이란 뜻으로, 해파리나 말미잘과 같은 동물입니다. 이런 동물을 보면 몸의 중간에 구멍이 나있습니다. 이 구멍으로 먹이를 먹고 안쪽에서 소화를 하며 또한 배설도 합니다. 즉 이 구멍은 입인 동시에 항문이며, 위와 창자입니다.
■ 항으로 소리나는 경우
▶ [3/3] 項 목 항 [중]项 [xiàng] 머리 혈(頁) + [장인 공(工)→항]
목은 머리에 있으니까, 목 항(項)자에는 머리 혈(頁)자가 들어갑니다. 비슷한 글자로 목 경(頸)자가 있습니다. 이후 항목(項目)이란 뜻으로 사용됩니다. 수학에서 다항식(多項式)은 '많은(多) 항(項)이 있는 식(式)'이고, '이항정리'의 이항(二項)은 '항(項)이 두(二) 개 있는 것'이고, 방정식을 풀 때 이항(移項)은 '등식이나 부등식의 한 변에 있는 항(項)을 그 부호를 바꿔 다른 변으로 옮기는(移) 일'입니다.
■ 홍으로 소리나는 경우
▶ [4/3] 紅 붉을 홍 [중]红 [hóng] 실 사(糸) + [장인 공(工)→홍] ▶ [1/1] 虹 무지개 홍 [중]虹 [hóng] 벌레 충(虫) + [장인 공(工)→홍]
실을 염색하여 색을 입히므로, 색을 나타내는 글자에는 실 사(糸)자가 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붉은 홍(紅), 자줏빛 자(紫), 푸를 록(綠)자 등이 그 예입니다. 홍의장군(紅衣將軍)은 '붉은(紅) 옷(衣)을 입은 장군(將軍)'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었던 곽재우 장군의 별명입니다. 전쟁에서 붉은 옷을 입고 선두에서 많은 왜적을 무찔렀으므로 홍의장군이란 별명이 붙었습니다.
무지개가 긴 뱀처럼 생겼으니까, 무지개 홍(虹)자에는 벌레 충(虫)자가 들어갑니다. 벌레 충(虫)자는 뱀의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홍채(虹彩)는 '무지개(虹) 색(彩)'이란 뜻이지만, 사람의 검은 눈동자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부분입니다. 동양 사람의 경우는 대부분 갈색이지만, 서양 사람의 경우 무지개처럼 여러 가지 색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아이리스(iris: 무지개)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중국 원나라에서는 서양인을 색목인(色目人: 눈동자에 색이 있는 사람)이라 불렀습니다. 무지개(iris)를 중국에서는 홍채(虹彩)라고 하기 때문에 홍채라는 이름이 생겼습니다.
[사진] 무지개 색이 나는 서양 사람의 홍채(虹彩)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