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6월 2일 화요일

한자 부수 날씨 (雨)

    2-2-4. 날씨 (雨)
중국 음식을 이야기하면 맨 먼저 머리에 떠올리는 것은 짜장면과 만두이다. 잘 알다시피 짜장면과 만두는 밀가루로 만든 음식이다. 중국을 가보면, 황화강 주변은 연간 강수량이 500mm 내외로 비교적 건조한 기후를 보이고 있어, 밀을 주로 심는 밭농사를 하고 있다(쌀을 심는 논농사는 고온다습한 양쯔강 주변에서 한다). 이런 이유로 황화강 주변에 사는 사람들은 밀로 만든 국수나 만두를 주식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기후 학자들에 의하면 고대 중국의 황하강 주변은 고온다습(高溫多濕)하였다고 한다. 고대의 기후를 알 수 있는 방법들이 여러가지 있는데, 지층에서 발견된 동식물의 종류와 함께, 과학 시간에 배운 동위원소 측정에 의해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BC5000년에서 갑골문자가 만들어졌던 BC 1000년까지의 지층에서 발견된 동물의 25~30%는, 코끼리나 코뿔소, 원숭이와 같은 열대 동물들이었다. 당시의 유적지에서도 코끼리나 코뿔소의 기물들이 발견되었고, 은나라에서 만들었던 갑골문자에도 코끼리 상(象)자나, 무소 서(犀)와 같은 글자가 있다.

이러한 고온다습했던 기후 때문에 옛날 황하강 주변에서는 쌀농사를 지었다. 하지만 이후 날씨가 점차 추워지고 비가 적게 오면서, 코끼리나 원숭이 같은 열대 동물들은 점차 사라져 없어지고, 농사도 밀농사를 짓게 되었다.

날씨가 고대 중국인의 생활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으리라는 것은 충분히 짐작하고도 남는다. 특히 농업국가였던 고대 중국에서, 비는 생명을 좌지우지(左之右之)하는 존재였다. 비가 너무 많이 오면 강이 범람하여 홍수가 생기고, 비가 적게오면 가뭄으로 논밭이 타들어 가 수많은 사람의 목숨을 빼았아 갔다. 이런 일은 수천 년이 지난 지금도 변함이 없다.

날씨에 관련된 대부분의 글자는 비 우(雨)자가 들어간다. 실제로 구름(雲), 이슬(露), 벼락(雷), 전기(電), 노을(霞), 눈(雪), 무지개(霓), 안개(雰) 등이 모두 공기 속의 물방울이나 비와 관련이 있다.

비 우(雨)자가 들어가지 않는 글자라면, 푸른(靑) 하늘에 해(日)가 있는 모습의 맑게 갤 청(晴)자와 바람 풍(風)자 정도이다. 여기에서는 비 우(雨)자가 들어가는 모든 글자에 대해서 이야기해보자.


■ 비 우(雨) - 하늘에서 비가 내리는 모습

비 우(雨)자는 하늘에서 내리는 빗방울을 본따 만든 글자이다.

구름 운(雲)자는 비 우(雨)자에 [이를 운(云)]자를 합쳐만든 글자이다. 이를 운(云)자는 구름의 모습을 본따 만든 글자이다. 운(云)자가 "이른다"는 의미가 생기자 구름이란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비 우(雨)자가 추가 되었다.

번개 전(電)[전기(電氣)]자와 우뢰 뢰(雷)[낙뢰(落雷)]자의 상형문자는 똑 같다. 비 우(雨)자에, 번개의 모습을 나태내는 펼 신(申)자가 변형되어 합쳐진 글자이다.(왼쪽 그림 참조)

눈 설(雪)자의 원래 글자는 비 우(雨)자에 빗자루 혜(彗)자를 합친 글자였으나, 빗자루 혜(彗)자가 간략화되어 계(彐)자만 남았다. 즉 눈이 내리면 빗자루(彗)로 쓸어야한다는 데에서 유래한 글자이다.[설원(雪原)]

"참 진(眞) 이슬 로(露)"라는 이름으로 주당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이슬 로(露)자는 비 우(雨)자와 [길 로(路)]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집 안에 있지 않고 길(路) 밖에 나와 있어서 비(雨)나 이슬을 맞는다는 의미인데, 길 밖에 있으니 "다 드러나 있다"는 뜻도 추가 되었다. 노출(露出)은 다 드러낸다는 뜻이다.

안개 분(雰)자도 비 우(雨)자에 [나눌 분(分)]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빗방울(雨)이 잘게 나누어져(分) 공기 중에 떠 다녀 안개가 낀다고 해석하는 사람도 있다.[분위기(雰圍氣)]

비 우(雨)자가 들어가도 비와 상관 없는 글자가 있다. 구할 수(需)자는 제사를 지내려고 목욕제계를 마친 사람(제관)의 모습을 본따 만든 글자이다. 몸에서 물이 뚝뚝 떨어지고 있는 사람이 제사를 지내기 위해 제물을 구하려고 한다고 해서 구할 수(需)자가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나중에는 상형문자의 모양이 변해, 비 우(雨)자 아래에 사람(大→而)이 서 있는 모습이 되었다. 즉, 비를 오게하기(구하기) 위해 기우제를 지내는 모습으로 추측된다. 나중에는 제사를 지내는 사람이란 의미로 사람 인(人)자가 추가되어 선비 유(儒)자가 되었다. 선비들이 하는 일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제사를 지내는 일이기 때문이다.

기우제와 관련되는 글자는 또 있다. 영묘할 령(靈)자는 비 우(雨)자와 입구(口)자가 3개, 무당 무(巫)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많은 사람이 입(口)으로 주문을 외우며 비(雨)가 오기를 기원하는 모습으로, 나중에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무당 무(巫)자가 추가되었다. 영혼(靈魂), 영감(靈感), 영매(靈媒), 영계(靈界), 영험(靈驗) 등에 사용된다.

샐 루(漏)자는 비(雨)가 와서 집(尸)에 물(氵)이 샌다는 의미이다. 누수(漏水)는 물이 샌다는 의미이다. 비 우(雨)자가 소리로 사용되는 희귀한 경우이다.

▶ 雲 : 구름 운, 비 우(雨) + [이를 운(云)] / 적운(積雲)
▶ 露 : 이슬 로, 드러날 로, 비 우(雨) + [길 로(路)] / 노천(露天), 노출(露出)
▶ 霜 : 서리 상, 비 우(雨) + [서로 상(相)] / 설상가상(雪上加霜)
▶ 霧 : 안개 무, 비 우(雨) + [일 무(務)] / 오리무중(五 里霧中)
▶ 雰 : 안개 분, 비 우(雨) + [나눌 분(分)] / 분위기(雰圍氣)
▶ 震 : 벼락 진, 진동할 진, 비 우(雨) + [별 진(辰)] / 진동(震動), 지진(地震)
▶ 零 : 비내릴 령, 떨어질 령, 비 우(雨) + [하여금 령(令)] / 영하(零下)
▶ 霞 : 노을 하, 비 우(雨) + [빌릴 가(叚)→하] / 진추하(陳秋霞)
▶ 霓 : 무지게 하, 비 우(雨) + [아이 아(兒)→하]
▶ 霖 : 장마 림, 비 우(雨) + [수풀 림(林)]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