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귈 교 사귈 교(交)자는 다리를 꼬고 서 있는 사람(大)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양다리가 교차되어 있다'고 해서 원래 '교차하다'는 뜻을 가졌습니다. 이후 '교차하다→주고받다→오고 가다→사귀다'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교차(交叉), 주고받는 교류(交流), 오고 가는 교통(交通), 사귀는 교제(交際) 등에 사용됩니다. 교각(交角)은 ‘두 직선이 교차(交叉)하면서 이루는 각(角)’이고, 직교(直交)는 ‘직각(直)으로 교차(交叉)한다’는 뜻입니다. 깍지낄 차(叉)자는 손(又)으로 깍지낀 모습으로, 깍지를 끼려면 손가락을 교차해야 합니다. ‘전기의 직류와 교류’에서 교류(交流)는 ‘오고 가는(交) 흐르는(流) 전류’입니다.
■ 교로 소리나는 경우
▶ [8/5] 校 학교 교 [중]校 [jiào] 나무 목(木) + [사귈 교(交)] ▶ [3/3] 較 견줄 교 [중]较 [jiào] 수레 차/거(車) + [사귈 교(交)] ▶ [3/2] 郊 들 교 [중]郊 [jiāo] 고을 읍(邑/阝) + [사귈 교(交)] ▶ [2/2] 絞 목맬 교 [중]绞 [jiǎo] 실 사(糸) + [사귈 교(交)] ▶ [1/2] 狡 교활할 교 [중]狡 狡 개 견(犭) + [사귈 교(交)]
학교 교(校)자는 원래 '죄인의 손발에 끼우는 나무인 차꼬나 형구(刑具)'를 뜻하는 글자입니다. 이후, '형구→(죄인을) 조사하다→(죄인을) 가르치다→학교(學校)' 등의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사귈 교(交)자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나무(木)로 지은 집으로, 친구를 사귀는(交) 곳이 학교이다'라고 암기하면 쉽겠지요?
견줄 교(較)자는 원래 수레(車) 좌우의 널빤지 위에 댄 가로 나무 앞으로 나온 부분으로 수레 안에 서 있을 때 잡는 곳이었는데, 그게 수레 위 상자처럼 된 부분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다가, 그것의 크기로 수레의 크기를 비교(比較)하면서 '비교하다, 견주다'라는 의미도 생겨났습니다. 비교(比較)는 '견주고(比) 견주다(較)'는 뜻입니다. 일교차(日較差)는 '하루(日) 동안의 비교한(較) 차이(差)'라는 뜻으로, 기온, 습도, 기압 따위가 하루 동안에 변화하는 차이입니다.
들 교(郊)자는 주나라 때 성 밖 100리 이내의 땅(邑/阝)을 일컫는 말이었습니다. 이후, '성 밖→들→근교(近郊)→시골'이란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근교농업(近郊農業)은 '도시 가까운(近) 들(郊)에서 짓는 농업(農業)'입니다. 교외(郊外)는 '도시의 외곽(外)에 있는 들(郊)'입니다.
목을 밧줄로 매니까, 목맬 교(絞)자에는 실 사(糸)자가 들어갑니다. 교살(絞殺)은 '목을 졸라(絞) 죽이다(殺)'는 뜻이고, 교수형(絞首刑)은 '머리(首)의 목을 매는(絞) 형벌(刑)'입니다.
짐승들이 교활(狡猾)하기 때문에, 교활할 교(狡)자에는 짐승을 의미하는 개 견(犭)자가 들어갑니다.
■ 효로 소리나는 경우
▶ [5/4] 效 본받을 효 [중]效 [xiào] 칠 복(攵) + [사귈 교(交)→효]
효과(效果), 효능(效能), 효력(效力) 등에 사용되는 본받을 효(效)자는 원래 '회초리로 때려서(攵) 배우게 하다'는 뜻입니다. 이후, '배우다→본받다→(배운) 보람→(배운) 효과(效果)'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광전효과(光電效果)는 '금속 등의 물질에 빛(光)을 비추면 표면에서 전자(電)가 튀어나오는 효과(效果)'입니다. 아인슈타인이 빛이 파(波)인 동시에 입자(粒子)로 이루어져 있다는 입자설(粒子說)을 증명하는 현상입니다. 아인슈타인은 광전효과의 발견으로 노벨상을 탔지만, 현대 물리학에서 가장 큰 업적인 상대성원리로는 상을 타지 못했습니다. 당시 상대성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