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류에 관련되는 부수는 물고기 어(魚)자와 조개 패(貝)자가 있다. 이중에서도 특히 조개 패(貝)자는 조개를 나타내는 의미보다도 돈을 나타내는 글자에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한다.
상형문자를 만들었던 중국의 은(殷)나라는 초기에 상(商)나라라고 불렀다. 상(商)나라 사람들은 중국 최초로 장사를 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상인(商人)이란 "상나라 사람"이란 뜻과 함께 "장사를 하는 사람"이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상나라는 금속으로 만든 화폐 대신 조개를 화폐로 사용하였다.
화폐에 사용된 조개는 마노(瑪瑙) 조개인데, 일반 조개와는 달리 모양이 특이하고, 매우 단단하며 광택이 예쁘다. 마노 조개는 중국 남부 해안이나 인도양에서 나는 조개인데, 당시 황화강 중류에 살았던 중국인들에게는 먼 바다에서 나는 마노 조개를 매우 귀하게 여겼으리라 짐작된다.
이런 이유로 돈이나 재물을 의미하는 글자에는 반드시 조개 패(貝)자가 들어간다. 또한 무역(貿易), 매매(賣買), 임대(賃貸), 전세(專貰), 저축(貯蓄), 배상(賠償) 등 경제 관련 용어에도 대부분 들어간다. 뿐만 아니라 중국인들은 다른 사람을 축하(祝賀)하거나, 아래 사람의 공을 치하하기 위해 하사(下賜)하거나, 다른 사람을 찬조(贊助)하거나, 초상집에 부의(賻儀)하는 등 인간 관계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경우 돈을 주는 관습이 있다. 이러한 관습이 나중에 뇌물(賂物) 변질되어 중국의 고질병이 되고있다.
역사적으로 보더라도 중국의 봉건제도는 왕이 공신이나 친척들로 하여금 땅을 주고 다스리는 대신, 공물(貢物)을 바치게 하였다. 그런데 이 공물(貢物)이라는 것이 높은 사람에게 잘 봐달라고 바치는 뇌물(賂物)과 사실상 별반 차이가 없다. 높은 사람에게 뇌물(賂物)을 주는 이런 관습이 아직도 동양 사회에는 곳곳에 남아 있다.
금속을 이용하여 주조한 화폐(貨幣)는 춘추(春秋)시대에 유통되기 시작하여 전국(戰國)시대에 보편화되었다. [사진] 은나라에서 화폐로 사용했던 마노조개
■ 물고기 어(魚) - 물고기의 옆 모습
맨위는 물고기 머리, 중간(田)은 비늘이 있는 물고기 몸통을, 아래의 4개점은 지느러미의 모습을 본 따 만든 글자이다. 주로 물고기나 물고기 이름에 관련되는 글자에 들어간다.
고울 선(鮮)자 혹은 신선할 선(鮮)자는 원래 물고기의 이름이었으나 현재는 날 것이나 깨끗하다, 신선(新鮮)하다는 뜻으로 사용되며, 신선한 것은 빛깔이 곱다는 의미도 생겼다.
차조기 소(蘇)자는 깨어날 소(蘇)라고도 하는데, 차조기라는 풀은 해독제나 약용으로 사용되는 풀이다. 차조기 풀(艹)을 먹고 생선(魚)과 쌀밥(禾)으로 회복한다에서, 깨어나거나 소생(蘇生)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한비자(韓非子)의 세난편(說難篇)에 용(龍)의 목에 꺼꾸로 나있는 비늘을 건드리면, 용은 그 사람을 죽인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하는 역린(逆鱗)에서 린(鱗)은 비늘 린(鱗)자이다.
중국 춘추 시대에 관중(管仲)과 포숙아(鮑叔牙)의 사귐이 매우 친밀하였다는 고사성어인 관포지교(管鮑之交)에 나오는 포(鮑)자는 절인어물 포(鮑)자이다.
고기 잡는 사람을 어부(漁父)라고 부르는데, 물고기 어(魚)자 대신 고기 잡을 어(漁)자가 사용됨을 유의해야한다. 물고기 어(魚)자가 소리로 사용되는 희귀한 경우이다.
▶ 鰍 : 미꾸라지 추, 물고기 어(魚) + [가을 추(秋)] / 추어탕(鰍魚湯) ▶ 鰕 : 새우 하, 물고기 어(魚) + [빌릴 가(叚)→하] / 대하(大鰕) ▶ 鰒 : 전복 복, 물고기 어(魚) + [거듭 복(复)] / 전복(全鰒) ▶ 鯨 : 고래 경, 물고기 어(魚) + [서울 경(京)] / 포경선(捕鯨船) ▶ 鯖 : 청어 청, 물고기 어(魚) + [푸를 청(靑)] / 청어(鯖魚) ▶ 鮮 : 신선할 선, 고울 선, 물고기 어(魚) + [양 양(羊)→상→선] / 조선일보(朝鮮日報). 신선(新鮮) ▶ 鯤 : 곤이 곤, 물고기 어(魚) + [맏 곤(昆)] ▶ 漁 : 고기 잡을 어, 물 수(氵) + [물고기 어(魚)] / 어부(漁父) ▶ 鱗 : 비늘 린, 물고기 어(魚) + [도깨비 불 린()] / 역린(逆鱗) ▶ 鮑 : 절인어물 포, 물고기 어(魚) + [쌀 포(包)] / 관포지교(管鮑之交)
■ 조개 패(貝) - 마노조개의 모습
마노(瑪瑙) 조개의 모습을 본 따 만든 글자이다. 조개 패(貝)자가 단독으로는 조개를 의미하지만, 다른 글자와 함께 사용될 때에는 돈이란 의미로 사용된다.
솥 정(鼎)자가 다른 글자와 만나면 간략화되어 조개 패(貝)자처럼 쓰기 때문에 두 글자를 잘 구분해야 한다. 둥글 원(員), 법칙 칙(則), 곧을 정(貞), 갖출 구(具)자에 들어가는 패(貝)자가 솥 정(鼎)자인데, 모두 돈과는 상관이 없는 글자이다.
짐 질 부(負)자는 사람 인(人)자와 조개 패(貝)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갚아야 할 돈(貝)이나 부채(負債)가, 사람(人)이 짐을 진 것 같이 부담(負擔)이 되는 데에서 유래한다.
질권(質權)이나 품질(品質) 등에 사용되는 질권 질(質)자는 질권을 설정할 도끼(斤)들의 품질이나 바탕이 좋은가를 보는데에서 바탕이란 의미가 유래한다.
재촉할 책(責) 혹은 꾸짖을 책(責)자에서, 글자 위 부분은 가시 자(朿)의 변형자인데, 빌려준 돈(貝)을 제때 갚지 않아 가시나무(朿)로 때리면서 재촉하거나 꾸짖는다는 의미이다. 꾸짖을 책(責)자 앞에 사람인(人)자를 붙이면 부채(負債)를 의미하는 빚 채(債)자가 된다.
살 매(買)자는 그물 망(罒)자와 조개 패(貝)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그물로 돈을 끌어 모으는(벌어들인다)는 의미라면, 물건을 판다는 것이 맞겠지만 아마도 물건을 사기위해 그물로 돈을 벌어들인다고 해석해야 할 것 같다.팔 매(賣)자는 날 출(出→士)자와 [살 매(買)]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물건을 팔면 물건이 나가기 때문에 날 출(出→士)자를 붙였다. 매매(賣買)는 팔고 산다는 의미이다.
다른 사람에게 돈을 주거나 바치는데 관련되는 글자들은 다음과 같다. 줄 사(賜)자는 조개 패(貝)자와 바꿀 역(易)자가 합쳐진 글자인데, 물건과 돈을 바꾸어(易) 돈(貝)을 준다는 의미이다. 하사(下賜)란 아랫사람에게 돈이나 물건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야구선수 박찬호(朴贊浩)의 이름에 사용되는 도울 찬(贊)자는, 사람(儿)과 먼저 간 사람의 발(止)의 상형인 선(先)자 2개가 만나, 나아갈 신()자가 되고, 다시 이 두 사람이 돈(貝)을 들고 나아가() 도와준다(贊)는 의미가 되었다. 찬조금(贊助金)은 도와주기 위해 주는 돈이다.
이외에도 돈이나 재물에 관련되는 글자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귀할 귀(貴)자에서, 조개 패(貝)자 위의 글자는 두손으로 흙에서 무언가 귀한 것을 꺼내는 모습이 단순화되었다. 아마도 금과 같은 귀중품(貴重品)으로 추측된다. 귀하다라는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돈을 의미하는 조개 패(貝)자가 들어갔다.
도적 적(賊)자는 창(戈)을 든 오랑캐(戎)가 돈(貝)을 도적(盜賊)질을 한다는 의미이다. 장물 장(贓)자는 조개 패(貝)자와 숨길 장(臧)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도적이 훔쳐서 숨겨 놓은 물건을 장물(贓物)이다.
세금 부(賦) 혹은 구실 부(賦)자는 구실을 붙여 무사(武士)들이 돈(貝)으로 부과(賦課) 세금을 의미하며, 곡식(禾)으로 거두는 세금이 세금 세(稅)자이다.
보배 보(寶)자는 집 면(宀), 구슬 옥(玉), 조개 패(貝), [항아리 부(缶)→보]자가 합쳐진 글자인데, 집(宀) 안에 있는 보석(玉)과 돈(貝)이 보배(寶貝)라는 뜻이다.
재화가 많을 현(賢)자는 조개 패(貝)자와 [어질 간(臣又)→견→현]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재화가 많다는 의미에서, 조개 패(貝)자가 들어간다. 덕망이나 지식이 많다는 의미로 사용되어 어질 현(賢)자가 되었다. 현명(賢明)은 어질고 사리에 밝다는 뜻이다.
꿸 관(毌)자는 조개를 줄에 꿴 모습이다. 나중에 꿸 관(毌)자의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조개 패(貝)자가 추가 되어 꿸 관(貫)자가 되었다. 옛날에 돈을 줄에 꿰어 다녔다. 꿸 관(貫)자에 집 면(宀)자를 합치면, 집(宀)안에 돈 꾸러미(貫)가 가득 채워져 넉넉하다는 의미의 넉넉할 실(實)자가 되며, 나중에 과실(果實) 또는 열매라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패할 패(敗) 혹은 부술 패(敗)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조개 패(貝)자에 칠 복(攵)자를 합쳐 놓은 글자이다. 즉 손에 든 막대기로 조개를 부수는 형상이다. 패배(敗北)는 싸움에 져서 달아난다는 뜻이고, 패가망신(敗家亡身)은 가산을 탕진하고 몸을 망친다는 뜻이다. 조개 패(貝)자가 소리로 사용되는 희귀한 경우이다.
▶ 財 : 재물 재, 조개 패(貝) + [재주 재(才)] / 재물(財物) ▶ 貨 : 재화 화, 조개 패(貝) + [될 화(化)] / 재화(財貨). 화폐(貨幣) ▶ 資 : 재물 자, 조개 패(貝) + [버금 차(次)→자] / 자산(資産) ▶ 賣 : 팔 매, 날 출(出→士) + [살 매(買)] / 매매(賣買) ▶ 責 : 재촉할 책, 꾸짖을 책, 조개 패(貝) + [가시 자(朿)의 변형자→책] / 책망(責望) ▶ 債 : 빚 채, 사람 인(人) + [재촉할 책(責)→채] / 부채(負債) ▶ 貯 : (돈을) 저축할 저, 쌓을 저, 조개 패(貝) + [조회받는 곳 저(宁)] / 저축(貯蓄) ▶ 貰 : (돈을) 세낼 세, 조개 패(貝) + [대 세(世)] / 전세(專貰) ▶ 賃 : 품팔이 임, 빌 임, 조개 패(貝) + [맡길 임(任)] / 임대(賃貸) ▶ 貸 : (돈을) 빌릴 대, 조개 패(貝) + [대신할 대(代)] / 대출(貸出) ▶ 販 : 팔 판, 조개 패(貝) + [되돌릴 반(反)→판] / 판매(販賣) ▶ 賈, 價 : 값 가, 조개 패(貝) + [덮을 아(襾)→가] / 동가홍상(同價紅裳) ▶ 賠 : (돈으로) 배상할 배, 조개 패(貝) + [떼 부()→배] / 배상(賠償) ▶ 購 : (돈으로) 살 구, 조개 패(貝) + [재목을 교차하여 쌓을 구(冓)] / 구매(購買) ▶ 貿 : 무역할 무, 조개 패(貝) + [토끼 묘(卯)의 변형자→무] / 무역(貿易) ▶ 賞 : (돈으로) 상줄 상, 조개 패(貝) + [오히려 상(尙)] / 상금(賞金) ▶ 償 : (돈을) 갚을 상, 사람 인(人) + 재물 패(貝) + [오히려 상(尙)] / 보상(補償) ▶ 贈 : (돈을) 줄 증, 조개 패(貝) + [거듭 증(曾)] / 증여세(贈與稅) ▶ 貢 : (돈을) 바칠 공, 조개 패(貝) + [장인 공(工)] / 공물(貢物) ▶ 賻 : (돈으로) 부의할 부, 조개 패(貝) + [펼 부(尃)] / 부의(賻儀) ▶ 賀 : (돈으로) 하례할 하, 조개 패(貝) + [더할 가(加)→하] / 축하(祝賀) ▶ 賂 : (돈으로) 뇌물줄 뢰, 조개 패(敗) + [각각 각(各)→락→로→뢰] / 뇌물(賂物) ▶ 贓 : 장물 장, 조개 패(貝) + [숨길 장(臧)] / 장물(贓物) ▶ 賦 : 세금 부, 구실 부, 조개 패(貝) + [굳셀 무(武)→부] / 부역(賦役) ▶ 寶 : 보배 보, 집 면(宀) + 구슬 옥(玉) + 조개 패(貝) + [항아리 부(缶)→보] / 보배(寶貝) ▶ 貧 : 가난할 빈, 조개 패(貝) + [나눌 분(分)→빈] / 빈부(貧富) ▶ 賤 : 천할 천, 조개 패(貝) + [도적 전(戔)→천] / 천민(賤民) ▶ 貪 : (돈을) 탐낼 탐, 조개 패(貝) + [이제 금(今)→음→함→탐] / 소탐대실(小貪大失) ▶ 費 : (돈을) 허비할 비, 조개 패(貝) + [아닐 불(弗)→비] / 소비(消費) ▶ 賭 : 도박 도, 조개 패(貝) + [사람 자(者)→도] / 도박(賭博) ▶ 貫 : (돈이나 조개를 줄에) 꿸 관, 조개 패(貝) + [꿸 관(毌)] / 관통(貫通) ▶ 賢 : (재화가) 많을 현, 어질 현, 조개 패(貝) + [어질 간(臣又)→견→현] / 현명(賢明) ▶ 賴 : (재화를)얻을 뢰, 이득 뢰, 힘입을 뢰, 조개 패(貝) + [어그러질 랄(剌)→뢰] / [신뢰(信賴)]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