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6월 2일 화요일

한자 부수 나무와 풀 (木,竹,氏,艸/艹,小)


    2-2-11. 나무와 풀 (木,竹,氏,艸/艹,小)
부수 214자 중에 식물에 관련되는 글자는 나무 목(木), 대나무 죽(竹), 풀 초(艸/艹), 삼 마(麻), 작을 소(小), 날 생(生), 벼 화(禾), 보리 맥(麥), 기장 서(黍), 부추 구(韭)자가 있다.

이중에서 벼 화(禾)자는 이삭이 달린 벼의 모습을 본 따 만든 글자이다. 첫 획이 고개를 숙인 이삭의 모습이다. 벼 화(禾)자는 뒤에 나오는 "농사와 쌀"에서 상세히 이야기할 예정이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하자.

보리 맥(麥)자의 위에 있는 올 래(來)자는 원래 익은 보리 이삭의 모습을 본 따 만든 글자이다. 보리는 춘추시대에 중앙아시아로부터 중국에 들어왔다. 보리가 외국에서 들어온 식물이라서, 래(來)자가 "오다"라는 뜻으로 쓰이자, 의미를 분명히하기 위해 뿌리 모습(夂)을 추가하여(보리는 뿌리가 매우 길다) 보리 맥(麥)자를 만들었다.

사실 맥(麥)자는 보리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밀을 의미하기도한다. 보리는 알이 조금 크기 때문에 대맥(大麥)이라 부르고, 밀은 알이 조금 작기 때문에 소맥(小麥)이라 부른다. 밀은 껍질이 딱딱하고 알이 물러서 껍질을 벗겨 알곡인 상태로 있기 힘들기 때문에 가루를 만들어 먹는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밀가루로 만든 음식이 많다. 만두와 국수가 그러한 예이다. 중국식당에서 먹는 짜장면(炸醬麵)이나 기스면(鷄絲麵)의 면(麵)자는 국수 면(麵)자인데, 보리 맥(麥)자에 소리를 나타내는 얼굴 면(面)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또한 맥주(麥酒)는 보리로 만든 술이다.

기장 서(黍)자는 이삭이 달린 기장(禾) 아래에 뿌리(人)가 붙어 있는 모습에 물 수(氺)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기장은 예로부터 중국에서 술을 만드는 원료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물 수(氺)자는 술(酒)을 의미한다.

부추 구(韭)자는 땅(一)에서 자라고 있는 부추(非)의 모습을 본 따 만든 글자이나, 이 글자는 거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는 소개하지 않는다.

삼 마(麻)자는 선반 위에 삼 껍질을 올려 놓고 말리는 모습을 본 따 만든 글자이다. 글자 안에 있는 수풀 림(林)자는 가지런히 놓여 있는 삼 껍질을, 엄(广)자는 선반의 모습이다. 마(麻)로 만든 삼베는 고대중국에서는 비단이나 무명보다 먼저 탄생되었다. 하지만 대마초(大麻草)가 가지고 있는 환각 성분으로 인해, 마(麻)를 약용으로 많이 사용하었다.

날 생(生)자는 흙(土)위에 풀이 올라와 있는 모습을 본 따 만든 글자이나, 다른 글자와 만나 주로 소리로만 사용된다. 날 생(生)자가 부수로 사용되는 글자 중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글자는 낳을 산(産)자 정도이다.

여기에서는 나무와 풀에 관련된 나무 목(木), 대나무 죽(竹), 풀 초(艸/艹), 작을 소(小) 자에 대해서 살펴보자.


■ 나무 목(木) - 나무 줄기, 가지, 뿌리의 모습

나무 줄기와 가지와 뿌리를 모습을 본 따 만들 글자이다. 나무는 고대 중국인의 생활에 사용되는 도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한자가 만들어졌던 은(殷), 주(周)시대에 금속을 가공하는 기술은 청동으로 솥을 만드는 정도이었다. 그래서 지금은 쇠로 만드는 기계(機械)를 당시에는 나무로 만들었다. 기계(機械)라는 글자에 들어가는 기(機 = 木 + 幾)자는 원래 베틀을 의미하고, 계(械 = 木 + 戒)자는 형틀이나 전쟁 무기를 의미하는 글자로, 모두 나무로 만들었기 때문에 나무 목(木)자가 들어갔다.

나무 목(木)자는 다른 글자에 비해 상형문자나 지사문자, 회의문자가 많은 편이다. 우선 이런 글자부터 살펴보자.

뿌리 본(本)자는, 나무(木)의 뿌리 부분에 뿌리라는 표시(一)를 한 지사문자이다.
끝 말(末)자는 나무(木)의 끝에 끝이라는 표시(一)를 한 지사문자이다. 끝 말(末)자와 비슷한 글자로 아닐 미(未)자가 있다. 아닐 미(未)자는 나무(木) 위에 나무가지를 하나(一) 덧붙인 모습으로 가지가 무성한 나무에 열린 과일이 맛있다는 데에서, 맛있다는 의미를 가졌으나, 아니다라는 의미로 바뀌었다. 나중에 본래의 뜻을 살리기 위해 입 구(口)자를 추가하여 맛 미(味)자를 만들었다.

열매 과(果)자는 나무(木) 위에 열매(田)가 달려 있는 모습을 본 따 만든 글자이다. 목(木)자 위의 밭 전(田)자는 밭의 의미가 아니라 나무 위에 달려 있는 과일들의 모양을 나타낸다. 과수원(果樹園)은 과일 나무를 심은 밭이다.
밤나무 률(栗)자는 나무(木) 위에 밤송이가 달려 있는 모습을 본 따 만든 글자이다. 조율시이(棗栗枾梨)는 제사상 맨 앞줄 왼쪽부터 대추(棗), 밤(栗), 감(枾), 배(梨)의 순으로 배열하는 것을 뜻한다. 조율이시(棗栗枾梨)로 하여 배(梨)와 감(枾)을 바꾸는 경우도 있다.
새집 소(巢)자는 나무(木) 위에 만들어 둔 새집의 모습을 본 때 만든 글자이다. 이소(離巢)란 새끼 새가 자라 집을 떠나는 것을 의미한다.
잎 엽(葉)자는 나무(木) 위에 나뭇잎(世)이 달려 있는 형상이다. 나뭇잎의 뜻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풀 초(艹)가 나중에 추가되었다. 낙엽(落葉)은 떨어지는 잎이다.
꽃 영(榮) 또는 영화로울 영(榮)자는 나무 목(木)자와 등불 형(熒)의 변형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나무 위에 불(熒)처럼 활활타는 듯한 꽃이 달려 있는 형상이다. 꽃과 같이 화려한 영화(榮華)를 누린다고해서 영화롭다는 뜻이 덧붙여 졌다.

캘 채(采)자는 나무(木)에서 손(爪)으로 과일을 채집(採集)하는 모습이다. 나중에 캔다는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손 수(扌)자를 붙여 캘 채(採)자를 만들었다. 나물이나 채소(菜蔬)를 의미하는 나물 채(菜)자는 풀 초(艹)자가 붙는다.

모일 집(集)자는 나무(木)위에 새(隹)가 여러 마리 모여있다고 해서, 모일 집(集)자가 되었다. 원래 글자는 나무(木) 위에 새 추(隹)자가 3개나 있었다.[집합(集合)]

붉을 주(朱)자는 나무(木)의 줄기를 자르는(一) 모습으로, 자른 줄기 중앙의 색이 붉다고해서, 붉다는 의미가 생겼다. 여기에 다시 나무 목(木)자를 추가하면 자르고 남은 나무라는 의미의 그루터기 주(株)자가 된다. 수주대토(守株待兎)는 융통성이 없는 행동을 일컫는데, 중국 송나라의 한 농부가 나무 뿌리에 걸려 죽은 토끼를 보고, 다시 토끼가 걸리기를 마냥 기다렸다는 한비자(韓非子)의 오두편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묶을 속(束)자는 나무(木) 중간에 끈(口)으로 묶여 있는 모습. 혹은 자루(口)의 양쪽 끝을 끈으로 몪은 모습이라고도 한다.[속박(束縛)]
곤할 곤(困)자는 나무(木)가 울타리에 둘러싸여(口), 자라지 못하고 곤란(困難)한 지경되었다는 의미이다.

수풀 림(林)자는 나무(木)와 나무(木)가 많으니 수풀(林)을 이룬다는 의미이고, 나무 빽빽할 삼(森)자는 삼림(森林)에 나무(木)가 많으니 빽빽하다는 의미이다.

불사를 분(焚)자는 나무(木)와 나무(木)를 불(火)로 태운다는 의미이다.[분서갱유(焚書坑儒)]
쉴 휴(休)자는 사람(人)이 나무(木) 아래에서 휴식(休息)한다는 의미이다.
막을 두(杜)자는 땅(土)에 나무(木)를 두거나 심어 두면 길을 막는다는 의미이다.[두보(杜甫)]
쪼갤 석(析)자는 도끼(斤)로 나무(木)를 쪼갠다는 의미이다. [분석(分析)]
부드러울 유(柔)자는 창 모(矛)자와 나무 목(木)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창 자루로 사용하는 나무는 부드럽고 유연(柔軟)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나무 이름을 지칭하는 글자들에도 나무 목(木)자가 들어간다.
오얐나무 이(李)자는 나무 아래에서 아이(子)들이 자두를 따려고 서있는 모습이다. 이(李)자는 성씨로서 우리에게 더 잘 알려져 있다.
은행나무 행(杏)자는 은행(銀杏) 나무(木) 아래에서 열매가 떨어지길 바라면 입(口)을 벌리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상형문자이다.
아무 모(某)자는 나무(木)에 맛있는(甘) 매실이 열려있는 모습이다. 원래는 매화나무라는 의미였으나, "아무"라는 뜻으로 바뀌었다.
뽕나무 상(桑)자는 나무(木) 위에 여러 명의 손(又)이 뽕잎을 따고 있는 모습이다. 비단으로 유명한 중국에서는 누에를 기르기 위해 뽕나무를 많이 재배했다. 뽕나무 상(桑)자와 비슷하게 생긴 글자로는 새 떼로 울 조()자가 있다. 나무(木) 위에 새 떼가 입을 벌리고(品) 울고 있는 모습이다. 이 글자는 독자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다른 글자와 만나 소리로 사용된다. 손 수(扌)자를 만나면 조종할 조(操)자가 되고, 불 화(火)자를 만나면 마를 조(燥)자가 된다. 조종(操縱)은 비행기나 기계 등을 운전하는 것이고, 건조(乾燥)는 마른다는 의미이다.

나무로 만든 물건을 나타내는 글자에도 나무 목(木)자가 들어간다.
같은 잠자리에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의 동상이몽(同床異夢)에 나오는 평상 상(床)자는 나무(木)로 집(广) 안에 평상(平床)을 만든다는 의미이다.
악기 악(樂)자는 나무(木) 위에 실(幺幺)을 매어 만든 현악기의 모습을 본따 만든 글자이다. 나중에 소리를 나타내는 백(白)자가 중간에 끼어 들었다. 음악(音樂)을 들으면 즐겁다고 해서 즐거울 요(樂)라는 의미가 더해졌다. 산과 물을 즐긴다는 뜻의 요산요수(樂山樂水)는 종종 시험에 등장한다.

이외에도 나무와 관련되는 글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검사할 검(檢)자의 유래는, 옛날 중국의 조정에서 문서를 나무 상자에 넣고는 표시를 해두는 것을 검(檢)이라고 하였다. 이후에 제대로 표시해 두었는지를 본다는데에서 검사(檢査)한다는 뜻이 생겼다.

형상 양(樣)자는, 나무를 깍아 모양(模樣)이나 형상을 만드니까, 나무 목(木)자가 들어간다. 길 영(永)자와 [양 양(羊)]자가 합쳐진 글자가 소리 역할을 하는 물 근원길 양(羕)자 이다.

다할 극(極)자는 원래의 의미가 대들보였다고 한다, 하지만 상형문자를 보더라도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없고, "다한다"라는 의미가 생긴 이유도 명확하지 않다. 태극기(太極旗)는 우리나라의 국기이다.

입 엽(葉)과 비슷하게 생긴 버릴 기(棄)자는 나무 목(木)과는 전혀 상관 없이 엽기적(獵奇的)인 의미를 가진다. 고문자를 보면 어린아이(子를 180도 회전)를 키(其)에 담아 두손으로 받들고 있는 모습이다. 아마도 죽은 아이를 버릴려고 하는 모습인 것 같다. 어쨋던 이런 모습의 글자가 변형되어 버릴 기(棄)가 되었다.[기권(棄權)]

목욕할 목(沐)자는 목(木)자가 소리로 사용되는 희귀한 경우이다.[목욕탕(沐浴湯)]

▶ 枯 : 마른나무 고, 목(木) + [옛 고(古)] / 고목(枯木)
▶ 樹 : 나무 수, 나무 목(木) + [세울 주(尌)→수] / 가로수(街路樹)
▶ 核 : 씨 핵, 나무 목(木) + [돼지 해(亥)→핵] / 핵폭탄(核爆彈), 핵심(核心)
▶ 枝 : 나무가지 지, 나무 목(木) + [가를 지(支)] / 일지매(一枝梅)
▶ 根 : 나무뿌리 근, 나무 목(木) + [그칠 간(艮)→근] / 근원(根源)
▶ 株 : 그루터기 주, 나무 목(木) + [붉을 주(朱)] / 주식(株式)
▶ 柯 : 가지 가, 자루 가, 나무 목(木) + [옳을 가(可)] / 남가일몽(南柯一夢)
▶ 松 : (나무 이름) 소나무 송, 나무 목(木) + [공변될 공(公)→송] / 송림(松林)
▶ 梅 : (나무 이름) 매화나무 매, 나무 목(木) + [매양 매(每)] / 매화(梅花)
▶ 楊 : (나무 이름) 버드나무 양, 나무 목(木) + [빛날 양(昜)] / 수양(垂楊)버들
▶ 柳 : (나무 이름) 버드나무 유, 나무 목(木) + [토끼 묘(卯)→유] / 유관순(柳寬順)
▶ 榴 : (나무 이름) 석류나무 류, 나무 목(木) + [머무를 류(留)] / 석류(石榴)
▶ 朴 : (나무 이름) 후박나무 박, 순박할 박, 나무 목(木) + [점 복(卜)→박] / 후박(厚朴)나무, 소박(素朴)
▶ 梨 : (나무 이름) 배나무 이, 나무 목(木) + [이로울 이(利)] / 이화(梨花)
▶ 梧 : (나무 이름) 오동나무 오, 나무 목(木) + [나 오(吾)] / 오동(梧桐)
▶ 桐 : (나무 이름) 오동나무 동, 나무 목(木) + [같을 동(同)] / 오동(梧桐)
▶ 橙 : (나무 이름) 등나무 등, 나무 목(木) + [오를 등(登)] / 등(橙)나무
▶ 枸 : (나무 이름) 구기자나무 구, 나무 목(木) + [글귀 구(句)] / 구기자(枸杞子)
▶ 杞 : (나무 이름) 구기자나무 기, 나무 목(木) + [몸 기(己)] / 기우(杞憂)
▶ 柑 : (나무 이름) 감귤나무 감, 나무 목(木) + [달 감(甘)] / 감귤(柑橘)
▶ 橘 : (나무 이름) 귤나무 귤, 나무 목(木) + [귤] / 남귤북지(南橘北枳)
▶ 枳 : (나무 이름) 탱자나무 지, 나무 목(木) + [다만 지(只)] / 남귤북지(南橘北枳)
▶ 桂 : (나무 이름) 계수나무 계, 나무 목(木) + [홀 규(圭)→계] / 계수(桂樹)나무
▶ 柏 : (나무 이름) 동백나무 백, 나무 목(木) + [흰 백(白)] / 동백(冬柏)
▶ 槿 : (나무 이름) 무궁화나무 근, 나무 목(木) + [진흙 근(堇)] / 근화(槿花)
▶ 檀 : (나무 이름) 박달나무 단, 나무 목(木) + [높을 단(亶)] / 단군(檀君)
▶ 桃 : (나무 이름) 복숭아 나무 도, 나무 목(木) + [조짐 조(兆)→도] / 무릉도원(武陵桃源)
▶ 楚 : (나무 이름) 가시나무 초, 회초리 초, 나무 목(木) + 나무 목(木) + [발 소(疋)→초] / 고초(苦楚)
▶ 牀 : (나무로 만든) 평상 상, 나무 목(木) + [나무조각 장(爿)→상] / 평상(平牀)
▶ 梁 : (나무로 만든) 대들보 량, 나무 목(木) + [대들보 량()] / 양상군자(梁上君子)
▶ 柱 : (나무로 만든) 기둥 주, 나무 목(木) + [주인 주(主)] / 사주(四柱)
▶ 椅 : (나무로 만든) 의자 의, 나무 목(木) + [기이할 기(奇)→의] / 의자(椅子)
▶ 案 : (나무로 만든) 책상 안, 나무 목(木) + [편안할 안(安)] / 안건(案件)
▶ 架 : (나무로 만든) 시렁 가, 나무 목(木) + [더할 가(加)] / 가교(架橋)
▶ 格 : (나무로 만든) 책시렁 격, 격식 격, 나무 목(木) + [각각 각(各)→격] / 격물치지(格物致知)
▶ 樓 : (나무로 만든) 누각 루, 나무 목(木) + [포갤 루(婁)] / 누각(樓閣)
▶ 欄 : (나무로 만든) 난간 란, 나무 목(木) + [가로막을 란(闌)] / 난간(欄干)
▶ 橫 : (나무로 만든) 빗장 횡, 가로 횡, 나무 목(木) + [누를 황(黃)→횡] / 종횡(縱橫)
▶ 棒 : (나무로 만든) 몽둥이 봉, 나무 목(木) + [받들 봉(奉)] / 침소봉대(針小棒大)
▶ 棍 : (나무로 만든) 곤장 곤, 나무 목(木) + [벌레 곤(昆)] / 곤봉(棍棒)
▶ 杖 : (나무로 만든) 지팡이 장, 나무 목(木) + [어른 장(丈)] / 곤장(棍杖)
▶ 榜 : (나무로 만든) 매 방, 나무 목(木) + [두루 방(旁)]
▶ 槍 : (나무로 만든) 창 창, 나무 목(木) + [창고 창(倉)] / 창검(槍劍)
▶ 材 : (나무로 만든) 재목 재, 나무 목(木) + [재주 재(才)] / 재목(材木)
▶ 板 : (나무로 만든) 널조각 판, 나무 목(木) + [되돌릴 반(反)→판] / 판자(板子)
▶ 機 : (나무로 만든) 베틀 기, 나무 목(木) + [기미 기(幾)] / 기계(機械)
▶ 械 : (나무로 만든) 기계 계, 무기 계, 나무 목(木) + [경계할 계(戒)] / 기계(機械)
▶ 棺 : (나무로 만든) 널 관, 나무 목(木) + [집 관(官)] / 석관(石棺)
▶ 槽 : (나무로 만든) 구유 조, 나무 목(木) + [마을 조(曹)] / 욕조(浴槽)
▶ 橋 : (나무로 만든) 다리 교, 나무 목(木) + [높을 교(喬)] / 교각(橋脚)
▶ 槪 : (나무로 만든) 평미레 개, 대개 개, 나무 목(木) + [이미 기(旣)→개] / 개요(槪要)
▶ 杯 : (나무로 만든) 잔 배, 나무 목(木) + [아닐 부(不)→배] / 축배(祝杯)
▶ 枕 : (나무로 만든) 베게 침, 나무 목(木) + [베게 음(冘)→침] / 목침(木枕])
▶ 構 : (나무를) 쌓을 구, 나무 목(木) + 재목을 교차하여 쌓을 구(冓)] / 구조물(構造物), 구축(構築)
▶ 築 : (나무를) 쌓을 축, 나무 목(木) + [악기이름 축(筑)] / 건축(建築)
▶ 標 : (나무에) 표할 표, 나무 목(木) + [쪽지 표(票)] / 표시(標示)
▶ 栽 : (나무를) 심을 재, 나무 목(木) + [해할 재()] / 재배(栽培)
▶ 植 : (나무를) 심을 식, 나무 목(木) + [바를 직(直)→식] / 식목일(植木日)
▶ 檢 : 검사할 검, 나무 목(木) + [다 첨(僉)→검] / 검사(檢査)
▶ 樣 : 모양 양, 형상 양, 나무 목(木) + [물 근원길 양(羕)] / 모양(模樣)


■ 대나무 죽(竹) - 대나무 줄기와 잎

2개의 대나무 줄기에 나무 잎이 붙어 있는 모습을 본 따 만든 글자이다. 고대 중국인에게 대나무는 나무 중에서 가장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모든 나무들의 이름에 나무 목(木)자가 들어가나, 대나무만 별도의 글자를 만든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대나무가 여러 용도로 사용 되었지만, 종이가 없던 시절에 종이 대신 사용되었다. 고대 중국에서, 글자를 적던 대나무 조각이나 대나무 조각을 엮어서 만든 책을 죽간(竹簡)이라 불렀다. 서기 105년에는 후한(後漢) 중기의 채륜(蔡倫)이 종이를 만들기 전까지 대부분의 기록들이 죽간(竹簡)으로 전해내려 왔다. 진시황제 때의 분서갱유(焚書坑儒, 책을 태우고 선비를 묻음) 때에도 대부분의 책이 죽간(竹簡)으로 되어 있었다.

째찍 책(策)자는 대나무 죽(竹)자와 가시 자(朿)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고대 중국에서는 가죽 대신 대쪽이나 가시나무로 째찍을 만들어 죄인들을 때리는데 사용하였다. 책(策)자는 대쪽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대쪽은 또한 죽간(竹簡)을 만드는데 사용되었기 떄문에 책이나 문서라는 의미도 가지게 되었고, 나아가 책어 적어둔 책략(策略)이란 의미로 "꾀"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전국책(戰國策)은 중국 전한(前漢) 말기 유향(劉向)이 편찬한 책으로, 전국시대에 유세(遊說)를 하던 선비들이 정치와 나라를 위해 수립한 책략들을 모아 놓은 책이다.

붓 필(筆)자는 손(彐)으로 붓을 잡고 있는 모양의 붓 율(聿)자의 뜻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대나무 죽(竹)자를 추가하여 붓 필(筆)자가 만들어졌다. 붓으로 단숨에 내리쓴 글씨를 일필휘지(一筆揮之)라 한다.

가지런할 등(等)같을 등(等)등급 등(等)자는 대나무 죽(竹)자와 관청 사(寺)자가 합쳐진 글자로, 관청(寺)에서 죽간(竹簡)을 같은 종류 별로 가지런히 정리한다는 의미로. 등급이란 의미도 파생되었다. 남녀동등(男女同等)은 남녀평등이란 의미이고, 등급(等級)은 좋고 나쁨의 차를 여러 층으로 나눈 급수이다.

고대 중국에서는 2세기 말 한(漢)나라의 주산(珠算)이 나올 때까지 산(算)가지라는 대나무 꼬챙이로 숫자를 나타내거나 셈을 하는 데 사용되었다, 셈할 산(算)자는 대나무로 만든 산가지와 주판(目)을 두 손(廾)으로 들고 수를 셈하는 모습이다. 눈 목(目)자는 눈과 상관없고, 90도 돌려보면 주판의 모습이다.

웃을 소(笑)자는 대나무 죽(竹)자와 [어릴 요(夭)→소]자가 합쳐진 글자이나, 대나무(竹)와 "웃는다"의 관련성을 아직 아무도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 일설에 의하면 바람에 흔들리는 대나무의 소리가 흡사 웃는 소리와 비슷하여 웃는다는 의미가 생겼다고 한다. 박수를 치며 크게 웃는 것을 박장대소(拍掌大笑)라 한다.

▶ 竿 : (대나무로 만든) 장대 간, 낚시대 간, 대나무 죽(竹) + [방패 간(干)] / 백척간두(百尺竿頭)
▶ 筒 : (대나무로 만든) 대통 통, 대나무 죽(竹) + [같을 동(同)→통] / 산통(算筒)
▶ 箭 : (대나무로 만든) 화살 전, 대나무 죽(竹) + [앞 전(前)] / 궁절전진(弓折箭盡)
▶ 管 : (대나무로 만든) 피리 관, 대나무 죽(竹) + [벼슬 관(官)] / 관현악단(管絃樂團)
▶ 箸 : (대나무로 만든) 젓가락 저, 대나무 죽(竹) + [놈 자(者)→저] / 시저(匙箸) : 수저
▶ 籠 : (대나무로 만든) 대그릇 농, 대나무 죽(竹) + [용 용(龍)→농] / 농구(籠球)
▶ 簞 : (대나무로 만든) 대광주리 단, 대나무 죽(竹) + [홑 단(單)] / 단식표음(簞食瓢飮)
▶ 箱 : (대나무로 만든) 상자 상, 대나무 죽(竹) + [서로 상(相)] / 상자(箱子)
▶ 篇 : (대나무에 적은) 책 편, 대나무 죽(竹) + [작을 편(扁)] / 천편일률(千篇一律)
▶ 籍 : (대나무에 적은) 서적 적, 장부 적, 대나무 죽(竹) + 쟁기 뢰(耒) + [옛 석(昔)→적] / 서적(書籍)
▶ 簡 : (대나무에 적은) 편지 간, 대나무 죽(竹) + [사이 간(間)] / 서간(書簡) : 편지
▶ 答 : (대나무에 적은) 대답할 답, 대나무 죽(竹) + [합할 합(合)→답] / 답장(答狀)
▶ 簿 : (대나무에 적은) 장부 부, 대나무 죽(竹) + [넓을 부(溥)] / 장부(帳簿)
▶ 符 : (대나무에 적은) 부적 부, 대나무 죽(竹) + [줄 부(付)] / 부적(符籍), 부호(符號)
▶ 策 : (대나무로 만든) 째찍 책, 대쪽 책, 문서 책, 꾀 책, 대나무 죽(竹) + [가시 자(朿)→책] / 책명(策命), 책략(策略)
▶ 範 : (대나무에 적은) 법 범, 대나무 죽(竹) + [차 앞턱 나무 범()] / 규범(規範)
▶ 筍 : (대나무의) 죽순 순, 대나무 죽(竹) + [열흘 순(旬)] / 우후죽순(雨後竹筍)
▶ 節 : (대나무의) 마디 절, 대나무 죽(竹) + [곧 즉(卽)→절] / 절개(節槪)
▶ 笞 : (대나무 째찍으로) 볼기칠 태, 대나무 죽(竹) + [별 태(台)] / 태형(笞刑)
▶ 笑 : 웃을 소, 대나무 죽(竹) + [어릴 요(夭)→소] / 박장대소(拍掌大笑)


■ 뿌리 씨(氏) - 나무의 뿌리

뿌리 씨(氏) 혹은 성 씨(氏)자는 나무의 뿌리를 본 따 만든 글자이다. 남의 성(姓)을 부를 때 김씨(金氏), 이씨(李氏)처럼 씨(氏)를 붙이는데, 성(姓=女+生)은 원래 모계 사회에서 어머니의 성을 일컫는 글자이고, 씨(氏)는 부계 사회로 옮아 오면서 아버지 성을 일컫는 글자이다. 지금은 둘을 합쳐서 성씨(姓氏)라고도 한다.

날저물 혼(昏)자는 해(日)가 나무 뿌리(氏)처럼 땅속으로 들어갔다는 데에서 날이 저문다는 뜻이 나왔다.[황혼(黃昏)]

물갈래 파(派)자에서, [물갈래 파(厂+氏)]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나무 뿌리(氏)처럼 물이 갈라져 흐르는 모습이다. 나중에 뜻을 분명히 하기 위해 물 수(氵)자가 더해졌다. 물갈래 파(派)자와 비슷하게 생긴 맥 맥(脈) 혹은 혈관 맥(脈)자는, 몸(肉→月)의 혈관(脈)이 물갈래(厂+氏)처럼 갈라져 흐른다는 의미이다. 파벌(派閥)은 이해 관계에 따라 따로따로 갈라진 사람들의 집단이고, 맥박(脈搏)은 혈관의 박동이다.

밑 저(氐)자는 뿌리 씨(氏)자 아래에 밑이라는 표시(一)를 한 지사문자이다. 밑 저(氐)자는 다음과 같이 다른 글자와 함께 사용되면 낮을 저(低), 바닥 저(底), 막을 저(抵)자와 같이 소리 역할을 한다.

종이 지(紙)자는 실 사(糸)자와 [뿌리 씨(氏)→지]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고대 중국에서는 실로 짠 천으로 종이를 만들어 사용하였으므로, 실 사(糸)자가 들어간다. 뿌리 씨(氏)자가 소리로 사용되는 희귀한 경우이다.


■ 풀 초(艸/艹) - 풀 두 포기

풀 초(艸/艹)자는 풀 두 포기를 본 따 만든 글자이다. 과학이 발달하지 못했던 고대 중국에서는 다년생 꽃, 버섯, 곰팡이, 세균이끼 등을 모두 풀로 분류하였다. 또한 포도(葡萄)나무나 등(藤)나무와 같은 덩굴류도 풀로 간주하였다. 따라서 이런 글자에는 나무 목(木)자 대신 풀 초(艹)자가 들어 감에 유의하자.
또 풀로 덮어 숨긴다는 의미에서 풀 초(艸/艹)자는 덮거나 숨긴다라는 의미의 글자에도 들어간다.

풀 훼(卉)자는 풀(艹)이 여러 개 나온 모양을 본 따 만든 상형문자이다. 화훼(花卉)란 꽃이 피는 풀을 의미한다.
꽃 화(華) 혹은 빛날 화(華)자는 꽃 모양의 상형문자 위에 풀 초(艹)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꽃이 화려(華麗)하다고 해서 "빛나다"는 의미가 생겼다. 화려(華麗)는 빛나고 아름답다는 뜻이다.
세균 균(菌)자 혹은 버섯 균(菌)자는 벼(禾)를 밀폐된 창고(口)에 넣어두면 풀(艹)의 일종인 곰팡이나 버섯이 생기는 데에서 유래한다. 곰팡이도 세균(細菌)의 일종이다.
이끼 태(苔)자는 풀 초(艹)자에 [별 태(台)]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이끼도 풀(艹)의 일종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김은 바다에서 나는 이끼라고 해태(海苔)라 불렀다.

풀로 덮거나 숨긴다라는 의미의 글자에도 풀(艹)자가 들어가는데 다음에 나오는 글자가 모두 그러한 예이다.
장사 장(葬)자는 장례(葬禮)를 지내기 위해 풀(艹)로 덮은 죽은 사람(死)을 두 손(廾)으로 들고 있는 모습이다. 손 맞잡을 공(廾)자는 두손의 상형입니다.
감출 장(藏)자는 [숨길 장(臧)]자의 뜻을 강조하기 위해, 풀 초(艹)자가 추가되었다. 장서(藏書)는 간직하고 있는 책을 의미한다.
덮을 개(蓋)자는 그릇 명(皿), 풀 초(艹)와 함께 [갈 거(去)→개]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그릇의 뚜껑을 덮으니까, 그릇 명(皿)자가 들어간다. 발산개세(拔山蓋世)은 산을 뽑고 세상을 덮을 만한 기세를 의미한다.
가릴 폐(蔽)자는 뜻을 나타내는 풀 초(艹)자에 [무너질 폐(敝)]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은폐(隱蔽)는 감춘다는 의미이다.

이외에도 풀에 관련 되는 글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떨어질 락(落)자는 풀 초(艹)자와 [물 락(洛)]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풀잎은 가을이면 떨어지고, 물은 위에서 아래로 떨어진다. 낙엽(落葉)응 떨어지는 잎이라는 의미이다.
쌓을 축(蓄)자는 풀 초(艹)자와 [가축 축(畜)]자가 합쳐진 글자인데, 가축(畜)에게 먹을 풀(艸)을 쌓아두어야 하는 데에서 유래한다. 축적(蓄積)은 모아서 쌓아둔다는 의미이다.
약 약(藥)자는 풀 초(艹)자와 [악기 악(樂)]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옛날에 약은 주로 풀로 만든 약초(藥草)이기 때문에, 풀 초(艹)자가 들어간다.
까끄라기 망(芒)자는 풀(艹)이 말라 죽으면(亡) 까끄라기가 된다는 의미이다. 죽장망혜(竹杖芒鞋)는 대 지팡이와 가죽신이란 의미로, 가장 간단한 보행이나 여행의 차림을 일컫는다.
어릴 몽(蒙)자는 원래 한약재로 쓰이는 풀의 일종을 지칭하여, 풀 초(艹)자가 들어갔다. 나중에 풀이 작다고 어리다라는 의미로 바뀌었다. 또 어린이들이 무지몽매(無知蒙昧)하다고 해서 어리석을 몽(蒙)자도 되었다.

같은 약(若)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풀 초(艹)자와는 전혀 상관 없다. 여자(女)가 두손으로 머리카락을 잡고 있는 모습이다. "같다"는 의미가 어떻게 나왔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약간(若干)은 정도나 양이 얼마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 菜 : 나물 채, 풀 초(艹) + [캘 채(采)] / 채소(菜蔬)
▶ 草 : 풀 초, 풀 초(艹) + [일찍 조(早)→초] / 초원(草原)
▶ 芒 : 까끄라기 망, 풀 초(艹) + [망할 망(亡)] / 죽장망혜(竹杖芒鞋)
▶ 蔬 : 푸성귀 소, 풀 초(艹) + [트일 소(疏)] / 소반(蔬飯)
▶ 芽 : 싹 아, 풀 초(艹) + [어금니 아(牙)] / 발아(發芽)
▶ 花 : 꽃 화, 풀 초(艹) + [될 화(化)] / 화초(花草)
▶ 芳 : 꽃다울 방, 풀 초(艹) + [모서리 방(方)] / 방년(芳年)
▶ 英 : 꽃뿌리 영, 풀 초(艹) + [가운데 앙(央)→영] / 영국(英國)
▶ 苔 : 이끼 태, 풀 초(艹) + [별 태(台)] / 해태(海苔)
▶ 苦 : (풀 이름) 씀바귀 고, 쓸 고, 풀 초(艹) + [옛 고(古)] / 고통(苦痛)
▶ 蔘 : (풀 이름) 인삼 삼, 풀 초(艹) + [석 삼(參)] / 산삼(山蔘)
▶ 蘭 : (풀 이름) 난초 란, 풀 초(艹) + [가로막을 란(闌)] / 매란국죽(梅蘭菊竹)
▶ 芯 : (풀 이름) 등심초 심, 풀 초(艹) + [마음 심(心)] / 등심초(燈芯草)
▶ 芍 : (풀 이름) 함박꽃 작, 풀 초(艹) + [잔 작(勺)] / 작약(芍藥)
▶ 菊 : (풀 이름) 국화 국, 풀 초(艹) + [두손으로 움켜잡은 손바닥 안 국(匊)] / 국화(菊花)
▶ 芭 : (풀 이름) 파초 파, 풀 초(艹) + [꼬리 파(巴)] / 파초(芭蕉)
▶ 蓮 : (풀 이름) 연 연, 풀 초(艹) + [이을 연(連)] / 연근(蓮根)
▶ 菽 : (풀 이름) 콩 숙, 풀 초(艹) + [아재비 숙(叔)] / 숙맥불변(菽麥不辨)
▶ 藍 : (풀 이름) 쪽 람, 풀 초(艹) + [살필 감(監)→람] / 청출어람(靑出於藍)
▶ 葡 : (덩굴 이름) 포도 포, 풀 초(艹) + [길 포(匍)] / 포도(葡萄)
▶ 薪 : (덩굴 이름) 섶나무 신, 풀 초(艹) + [새 신(新)] / 와신상담(臥薪嘗膽)
▶ 葛 : (덩굴 이름) 칡 갈, 풀 초(艹) + [어찌 갈(曷)] / 갈분(葛粉), 제갈공명(諸葛孔明)
▶ 藤 : (덩굴 이름) 등나무 등, 풀 초(艹) + [물 솟을 등(朕+氺)] / 갈등(葛藤)
▶ 藏 : (풀로) 감출 장, 풀 초(艹) + [숨길 장(臧)] / 장서(藏書)
▶ 蓋 : (풀로) 덮을 개, 그릇 명(皿) + 풀 초(艹) + [갈 거(去)→개] / 발산개세(拔山蓋世)
▶ 蔽 : (풀로) 가릴 폐, 풀 초(艹) + [무너질 폐(敝)] / 은폐(隱蔽)
▶ 落 : (풀잎이) 떨어질 락, 풀 초(艹) + [물 락(洛)] / 낙엽(落葉)
▶ 苛 : (풀이) 매울 가, 풀 초(艹) + [옳을 가(可)] / 가학(苛虐)
▶ 茂 : (풀이) 우거질 무, 풀 초(艹) + [천간 무(戊)] / 무성(茂盛)
▶ 薄 : (풀잎이) 엷을 박, 풀 초(草) + [넓을 부(溥)→박] / 박리다매(薄利多賣)
▶ 蒼 : (풀잎이) 푸를 창, 풀 초(艹) + [창고 창(倉)] / 창공(蒼空)
▶ 藥 : (약초로 만든) 약 약, 풀 초(艹) + [풍류 락(樂)→약] / 약초(藥草)
▶ 蒙 : (풀처럼) 어릴 몽, 어리석을 몽, 풀 초(艹) + [엎을 몽(冡)] / 무지몽매(無知蒙昧)


■ 작을 소(小) - 작은 새싹이 땅을 뚫고 나오는 모습

땅을 뚫고 나오는 작은 싹의 모습을 본 따 만들 글자이다. 양쪽의 작은 점 두 개(八)는 땅을 중간의 ㅣ는 싹을 의미한다.

뾰쪽할 첨(尖)자는 위가 작고(小), 아래가 크니(大) 뾰쪽한 모양이다. 물건의 뾰족한 끝이란 뜻의 첨단(尖端)은 학문, 기술, 유행 등에 있어서 맨 앞장을 서는 것을 의미한다.
못할 렬(劣)자는 힘(力)이 적어(少) 못하다는 의미이다. 열등(劣等)이나 열세(劣勢) 등에 사용된다.

네개의 작은 점으로 이루어진 적을 소(少)자는 소(小)자와 같은 의미이다. 하지만 크기가 작다는 작을 소(小), 양이 적다는 적을 소(少)를 사용한다. 젋다는 의미는 나이가 적으므로 적을 소(少)자를 사용한다. 소년(少年)과 소녀(少女)는 어린 남자애와 여자애이다.

쇠할 소(肖)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고기 육(肉→月)자와 [작을 소(小)]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몸(肉→月)이 작아져(小) 기운이 쇠하다는 의미가 생긴 것 같다. 초상화(肖像畵)라는 단어에서 보듯이 닯을 초(肖)자로도 쓰인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