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 과 오이 과(瓜)자는 중앙에 오이 1개와 양쪽으로 덩쿨 2개가, 위의 줄기에 달려 있는 모습을 본떠 만든 글자입니다. 하지만 과(瓜)자가 오이만을 일컫는 글자는 아니고, 참외, 수박, 호박, 박 등 덩쿨이 있는 박과의 식물을 모두 일컫습니다. 따라서 표주박 표(瓢)자에도 오이 과(瓜)자가 들어갑니다. 오이 과(瓜)자는 손의 상형인 손톱 조(爪)자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 고로 소리나는 경우
▶ [4/3] 孤 외로울 고 [중]孤 [gū] 아들 자(子) + [오이 과(瓜)→고]
고독(孤獨), 고립(孤立), 고아(孤兒) 등에 들어가는 외로울 고(孤)자는 원래 '부모가 없는 아이(子)' 즉, 고아(孤兒)를 일컫습니다. 고아는 외롭기 때문에 '외롭다'는 뜻이 생겼습니다. 고립어(孤立語)는 '글자 하나하나가 고립(孤立)된 언어(言語)'로, 중국의 한자처럼 조사나 어미가 없이 글자 하나하나가 고립된 언어입니다. 글자의 문법적인 기능은 주로 말의 순서로 파악합니다. 예를 들어 '나는, 나의, 나와, 나를' 등을 모두 조사가 없이 '아(我)'로 표현합니다. 또 '가다, 가니, 가고' 등도 조사가 없이 '거(去)'로 표현합니다. 고장난명(孤掌難鳴)은 ‘외로운(孤) 손(掌)은 울기(鳴)가 힘들다(難)’는 뜻인데, 한 손으로는 손뼉을 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혼자서는 어떤 일을 이룰 수 없다’는 뜻과 함께, ‘상대(相對) 없이는 싸움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 호로 소리나는 경우
▶ [1/1] 狐 여우 호 [중]狐 [hú] 개 견(犭) + [오이 과(瓜)→호] ▶ [1/1] 弧 활 호 [중]弧 [hú] 활 궁(弓) + [오이 과(瓜)→호]
여우도 짐승의 일종이니까, 여우 호(狐)자에는 짐승을 의미하는 개 견(犭)자가 들어갑니다. 구미호(九尾狐)는 '꼬리(尾)가 9(九)개 달린 여우(狐)'입니다. 호가호위(狐假虎威)는 '여우(狐)가 범(虎)의 위세(威)를 빌려(假) 호기를 부리다' 뜻으로, 남의 권세에 의지하여 위세를 부림을 이르는 말입니다.
활 호(弧)자는 활을 뜻하는 동시에 곡선이나 원둘레의 한 부분을 뜻합니다. 이런 부분의 모습이 활과 같이 생겼다고 해서 호(弧)라고 부릅니다. 원호(圓弧)는 원둘레의 두 점 사이에 있는 한 부분입니다. 호상열도(弧狀列島)는 '활(弧)등처럼 굽은 형상(狀)으로 열(列)을 지어 있는 섬(島)의 집합체'로, 일본열도(日本列島)가 그런 예입니다. 호도법(弧度法)은 ‘호(弧)의 길이로 각도(度)를 표현하는 방법(法)’으로, 단위는 라디안(Radian) 입니다. 라디안(Radian)이란 말은 반지름을 의미하는 래디우스(radius)라는 단어에서 나왔습니다. 따라서, 1 라디안은 호의 길이가 반지름 길이와 같을 때의 각도로 약 57도입니다. 반지름의 3.14(=π)배가 되면 180도가 되고, 반지름의 6.28(=2π)배가 되면 360도가 됩니다. |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