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6월 3일 수요일

한자 소리 글자 "가"

단어명    가(叚)
빌릴 가
빌릴 가(叚)자는 손(又)에 든 연장으로 절벽(厂)에 붙어 있는 광물을 캐는 모습으로, 원래의 의미는 '절벽에서 광물을 캐다'는 뜻이나, '빌리다'는 뜻으로 변했습니다. '땅에서 캐낸 광물은, 인간이 자연에서 일시적으로 빌려 쓴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빌릴 가(叚)자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없고, 다른 글자와 만나 소리로 사용됩니다.

■ 가로 소리나는 경우 

▶ [4/4] 假 거짓 가 [중]假 [jiǎ] [약]仮 
사람 인(亻) + [빌릴 가(叚)]
▶ [4/3] 暇 겨를 가 [중]暇 [xiá] [약]昄 
날 일(日) + [빌릴 가(叚)]

가정(假定), 가설(假說), 가상(假想) 등에 사용되는 거짓 가(假)자는 '자연에 있는 것은 참이고, 사람이 자연에서 빌린(叚) 것은 거짓이다'는 뜻입니다. 가식(假飾)이란 '거짓(假)되게 꾸미다(飾)'는 뜻이고, 가분수(假分數)는 '거짓(假) 분수(分數)'라는 뜻으로, 분자가 분모보다 큰 분수입니다.

여가(餘暇), 휴가(休暇), 한가(閑暇) 등에 사용되는 겨를 가(暇)자의 겨를은 시간적인 여유나 틈을 말하는 순우리말입니다. 겨를은 시간에 관계되니까, 날 일(日)자가 들어갑니다.

■ 하로 소리나는 경우 

▶ [1/1] 蝦 새우 하 [중]虾 [xiā] 
벌레 충(虫) + [빌릴 가(叚)→하]
▶ [1/2] 瑕 티 하 [중]瑕 [xiá] 
구슬 옥(玉/王) + [빌릴 가(叚)→하]

고대 중국인은 파충류(뱀, 개구리, 자라 등), 갑각류(새우 등), 연체동물(조개, 달팽이)을 모두 벌레로 보았기 때문에, 새우 하(蝦)자에는 벌레 충(虫)자가 들어갑니다. 벌레 충(虫)자 대신 물고기 어(魚)자가 들어가도 새우 하(鰕)자가 됩니다. 가을철에 서해안에 가면 소금에 구운 '대하구이'가 별미인데, 대하(大蝦)는 '큰(大) 새우(蝦)'라는 뜻입니다. 또, 전라도 지방의 토하젓은 흰 쌀밥에 비벼 먹기 정말 좋은데, 토하(土蝦)는 '논이나 저수지 바닥의 진흙(土)에서 잡히는 민물 새우(蝦)'입니다.

티 하(瑕)자는 옥(玉)의 표먄에 생긴 조그마한 티를 나타내는 글자입니다. 하자(瑕疵)는 '허물(瑕)과 허물(疵)'이란 뜻으로, 흠이나 결점을 말합니다,

단어명    가(加)
더할 가
더할 가(加)자는 쟁기의 상형인 힘 력(力)자와 입 구(口)자가 합쳐진 글자로, '쟁기질(力)하는 사람에게 입(口)으로 더 잘하라'고 말하는 데에서 '더하다'는 뜻이 붙었습니다. 가속도(加速度)는 '단위 시간당 속도(速)가 증가(增加)하는 정도(程度)'이고, 가감법(加減法)은 '더하거나(加) 빼는(減) 방법(法)'입니다. 가수분해(加水分解)는 ‘물(水)을 가(加)하면 분해(分解)되는 반응’으로 화학반응 중에 물 분자가 작용하여 일어나는 분해 반응입니다. 사람의 소화기 내에서 음식이 소화되는 과정(녹말→포도당) 등이 대표적인 가수분해입니다.

부여의 마가(馬加), 우가(牛加), 저가(豬加), 구가(狗加), 고구려(高句麗)의 상가(相加), 대형가(大兄加), 고추가(古雛加)에 나오는 가(加)자는 만주와 몽골 계통의 말에서 부족이나 씨족의 장(長)을 일컫는 말입니다. 같은 말로 간(干), 한(汗), 가한(加汗) 등이 있습니다. 모두 한자의 본래 뜻과는 상관없이 소리를 빌려 한자로 썼을 뿐입니다. 신라의 왕호인 거서간(居西干)이나 마립간(麻立干)의 '간(干)'이나, 몽골 징기스칸의 '칸'도 그러한 예입니다. 제가회의(諸加會議)는 '모든(諸) 부족장(加)들이 참가한 회의(會議)'라는 뜻으로, 고구려 때 주요 국사를 논의하고 결정하던 귀족회의입니다.


■ 가로 소리나는 경우 

▶ [3/3] 架 시렁 가 [중]架 [jià] 
나무 목(木) + [더할 가(加)]
▶ [2/2] 伽 절 가 [중]伽 [qié] 
사람 인(亻) + [더할 가(加)]
▶ [2/1] 迦 부처이름 가 [중]迦 [jiā] 
갈 착(辶) + [더할 가(加)]
▶ [1/2] 嘉 아름다울 가 [중]嘉 [jiā] 
북 주(壴) + [더할 가(加)]

서가(書架), 고가(高架), 가교(架橋) 등에 사용되는 시렁 가(架)자의 시렁은 물건을 얹어 놓기 위하여 벽에 두 개의 긴 나무를 가로질러 선반처럼 만든 것입니다. 방에 물건을 추가(追加)하여 더 놓을 수 있도록 만든 것이 시렁이라는 뜻으로, 더할 가(加)자가 들어 있습니다. 고가도로(高架道路)는 '땅 위로 높이(高) 시렁(架)처럼 설치한 도로(道路)'입니다.

절 가(伽)자는 범어(梵語, 옛 인도 말인 산스크리트어)인 가(gha)의 음을 표현하기 위해 만든 글자입니다. 중국어에서는 외래어를 한자로 만들 때 사람 인(亻)자를 붙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가람(伽藍)은 인도에서는 수행하는 승려가 수행과 숙박을 하는 곳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절을 말합니다. 승가(僧伽)는 '중(僧)의 절(伽)'이란 뜻으로, 부처의 가르침을 믿고 불도를 실천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뜻합니다.

부처이름 가(迦)자는 범어인 가(ka)의 음을 표현하기 위해 만든 글자입니다. 석가(釋迦)는 고대 인도의 크샤트리아 계급에 속하는 종족의 하나이며, 석가모니(釋迦牟尼)는 '석가(釋迦) 종족의 성자(牟尼)'라는 뜻으로 부처님을 일컫는 말입니다. 부처님의 이름은 싯다르타(Siddhārtha, 悉達多)입니다.

아름다울 가(嘉)자는 원래 '북(壴)을 치면서 입(口)으로 노래를 부르니 기쁘다'는 뜻의 기쁠 희(喜)자와 같은 뜻을 가졌습니다. 이후 '기쁘다→즐기다→좋다→칭찬하다→아름답다' 등의 뜻이 파생되었습니다. 가례(嘉禮)는 '아름다운(嘉) 예식(禮)'라는 뜻으로, 관례(冠禮)나 혼례(婚禮)를 일컫는 말입니다.

■ 하로 소리나는 경우 

▶ [3/3] 賀 하례할 하 [중]贺 [hè] 
조개 패(貝) + [더할 가(加)→하]

하례(賀禮)는 '축하(祝賀)하여 예(禮)를 차린다'는 뜻입니다. 중국인들은(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예로부터 결혼이나 기쁜 일을 축하(祝賀)할 때 돈을 주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하례할 하(賀)자에는 조개 패(貝)자가 들어갑니다. 하객(賀客)은 '축하(祝賀)하러 온 손님(客)'입니다.
관련되는 단어    *력(力),*구(口)
단어명    가(可)
옳을 가
옳을 가(可)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입 구(口)자 옆에 정(丁)자의 모습이 있습니다. 가(可)자에 대한 해석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중 하나는, 농사를 짓는 곡괭이(丁)와 농사를 지을 때 입(口)으로 부르는 노래로 해석하여, 힘든 농사일에 노래를 부르면 쉽게 일을 할 수 있다고 해서, '가능(可能)하다, 옳다' 등의 뜻이 생겼다고 합니다. 가시광선(可視光線)은 '보는(視) 것이 가능한(可) 광선(光線)'이란 뜻입니다. '빨주노초파남보' 등의 무지개 빛은 모두 볼 수 있지만, 자외선이나 적외선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보이지 않는 광선은 불가시광선(不可視光線)이라고 합니다.


■ 가로 소리나는 경우 

▶ [7/5] 歌 노래 가 [중]歌 [gē] 
하품 흠(欠) + [성/소리 가(哥)]
▶ [2/1] 軻 수레 가 [중]轲  
수레 차/거(車) + [옳을 가(可)]
▶ [2/1] 柯 가지 가 [중]柯 [kē] 
나무 목(木) + [옳을 가(可)]

가수(歌手), 국가(國歌), 교가(校歌) 등에 들어가는 노래 가(歌)자는 '하품(欠)하듯이 입을 크게 벌려 소리(哥)를 지르며 노래를 하다'는 뜻입니다. 가극(歌劇)은 '대사 대신 노래(歌)를 부르는 연극(演劇)'으로, 서양 오페라(opera)를 말합니다.

수레 가(軻)자는 뜻을 나타내는 수레 차(車)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옳을 가(可)자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주로 사람의 이름에 사용됩니다. 맹가(孟軻)는 맹자(孟子)의 이름입니다.

가지 가(柯)자는 나무의 가지니까, 나무 목(木)자가 들어갑니다. 남가일몽(南柯一夢)은 '느티나무에서 남쪽(南)으로 뻗은 나무 가지(柯) 아래에서 꾸었던 한(一) 꿈(夢)'이란 뜻으로, 덧없이 지나간 한 때의 헛된 부귀나 행복을 말합니다. 원래 중국 당나라 때의 소설인 《남가태수전(南柯太守傳)》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합니다.

■ 기로 소리나는 경우 

▶ [4/3] 奇 기이할 기 [중]奇 [qí] 
큰 대(大) + [옳을 가(可)→기]
▶ [4/3] 寄 부칠 기 [중]寄 [jì] 
집 면(宀) + [기이할 기(奇)]
▶ [3/2] 騎 말탈 기 [중]骑 [qí] 
말 마(馬) + [기이할 기(奇)]
▶ [2/2] 琦 옥이름 기 [중]琦 [qí] 
구슬 옥(玉) + [기이할 기(奇)]

기이(奇異), 기묘(奇妙), 기형(奇形), 신기(神奇) 등에 들어가는 기이할 기(奇)자는 '사람이 너무 커(大) 기이하다'는 뜻입니다. 기이(奇異)는 '기이하고(奇) 다르다(異)'는 뜻입니다. 전기소설(傳奇小說)은 '전해(傳) 내려오는 기이한(奇) 이야기를 담은 소설(小說)'로, 중국 당(唐)나라 중기(7∼9세기)에 발생한 소설의 명칭으로, 기이한 사건을 소재로 하는 소설을 말합니다. 조선 초기의 문인인 김시습의 《금오신화(金鰲新話)》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기소설입니다. 중국 사대기서(中國四大奇書)는 '중국(中國)에서 만든 4(四)개의 큰(大) 기이한(奇) 책(書)'으로,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수호지(水滸志)》, 《서유기(西遊記)》, 《금병매(金甁梅)》 등을 말합니다.

기이할 기(奇)자는 다른 글자 내에서 ‘의지(依支)하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아래에 나오는 부칠 기(寄)자와 말탈 기(騎)자가 그러한 예입니다.

부칠 기(寄)자는 '다른 집(宀)에 붙어서 의지해(奇) 살다'는 뜻입니다. 기생화산(寄生火山)은 '다른 화산에 붙어(寄) 사는(生) 화산(火山)'이란 뜻으로 큰 화산의 옆쪽에 붙어서 생긴 작은 화산을 말합니다. 기생충(寄生蟲)은 '사람 몸 안에 붙어(寄) 사는(生) 벌레(蟲)'를 이릅니다. 기숙사(寄宿舍)는 '학교나 회사 등에 붙어(寄), 자는(宿) 집(舍)'이란 뜻으로, 학교나 회사 따위에 딸려 있어 학생이나 사원에게 싼값으로 숙식을 제공하는 시설입니다.

기마(騎馬), 기병(騎兵) 등에 사용되는 말탈 기(騎)자는 '말(馬)에 의지하여(奇) 타다'는 뜻입니다. 기호지세(騎虎之勢)는 '범(虎)을 타고(騎) 달리는 형세(勢)'라는 뜻으로, 시작한 것을 중도에서 그만 둘 수 없음을 이릅니다.일기당천(一騎當千)은 '한(一) 명의 말 탄(騎) 사람이 천(千) 사람을 당(當)한다'는 뜻으로, 무예가 매우 뛰어남을 일컫는 말입니다.

옥이름 기(琦)자는 뜻을 나타내는 구슬 옥(玉)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기이할 기(奇)자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사람 이름에 주로 사용됩니다.

■ 아로 소리나는 경우 

▶ [3/2] 阿 언덕 아 [중]阿 
언덕 부(阜/阝) + [옳을 가(可)→아]

언덕 아(阿)자는 원래 언덕을 뜻하는 글자입니다. 이후 '언덕→(언덕 등선이) 굽다→(굽은 마음으로) 아첨하다'는 뜻이 생겼습니다. 곡학아세(曲學阿世)는 '학문(學)을 왜곡(曲)하여 세상(世)에 아첨(阿)하여 인기를 끌고자 한다'는 뜻으로, 중국 한나라의 원고생이 공손홍에게 "학문의 정도는 학설을 굽혀 세상 속물에 아첨하는 게 아니다"라고 한 데서 유래합니다. 1840년 중국에서 일어난 아편전쟁의 원인이자 마약의 일종인 아편(阿片)은 영어 오우폄(opium)을 소리나는 대로 적은 것입니다. 하지만 뜻을 해석하면 '사람 마음에 아첨하는(阿) 약 조각(片)'이란 뜻이 됩니다.

■ 하로 소리나는 경우 

▶ [5/4] 河 물 하 [중]河 [hé] 
물 수(氵) + [옳을 가(可)→하]
▶ [3/3] 何 어찌 하 [중] [hé] 
사람 인(亻) + [옳을 가(可)→하]
▶ [3/2] 荷 연꽃 하 [중]荷 [hè] 
풀 초(艹) + [어찌 하(何)]

운하(運河), 하구(河口), 하천(河川), 빙하(氷河) 등에 들어가는 물 하(河)자는 원래 황하강(黃河江)을 지칭하는 고유명사입니다. 나중에 황하강 상류에서 쓸려오는 황토로 인해 물 색깔이 항상 누른색이라, 누른 황(黃)자를 붙여 황하(黃河)라고 불렀습니다. 아무리 바라고 기다려도 실현될 가능성이 없음을 이르는 백년하청(百年河淸)은 '황하(黃河)가 항상 흐리기 때문에 백년(百年)이 지나도 맑지(淸) 않는다'는 데서 나온 말입니다.

어찌 하(何)자는 원래 사람(亻)이 어깨에 짐(可)을 메고 있는 모습인데, 가차되어 '어찌'라는 뜻이 생겼습니다. 영어의 의문문은 what, where, when, why, how 등으로 시작하지만, 한문에서는 하(何)자로 표현합니다. 하시(何時: 언제), 하소(何所: 어디), 하위(何爲: 어째서), 하고(何故: 무슨 까닭), 하사(何事: 무슨 일), 하처何處: 어느 곳) 등이 그러한 예입니다.

연꽃 하(荷)자에는 뜻을 나타내는 풀 초(艹)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어찌 하(何)자가 합쳐진 글자입니다. 나중에 어찌 하(何)자의 본뜻인 '메다, 짊어지다, 짐, 화물(貨物)' 등의 뜻이 생겼습니다. 하중(荷重)은 '짐(荷)의 무게(重)'라는 뜻으로, 물체에 작용하는 외부의 힘이나 무게를 뜻하는 용어입니다.
Text-to-speech function is limited to 100 characters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