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6월 2일 화요일

한자 부수 머리 얼굴

    2-1-3. 머리와 얼굴 (頁,首,面,自,耳,目/罒,見)
여기에서는 사람의 머리와 관련되는 글자를 알아보자.
사람의 머리와 얼굴에 있는 글자 중 부수는 머리 혈(頁), 머리 수(首), 얼굴 면(面), 눈 목(目), 귀 이(耳), 입 구(口)자에 코의 상형인 스스로 자(自)자가 있다. 이 중 입 구(口)자는, 관련되는 내용이 많으므로 뒤에 별도로 이야기하도록 하자.

"스스로" 혹은 "자기 자신"이란 의미를 가진 자(自)자는 코의 앞 모습을 본따 만든 글자이다. 코가 왜 "자신"을 일컫는지에 대한 설은 여러가지가 있다. 그 중 하나는 사람의 중심은 머리이고, 머리에서 가장 중앙에 코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머리나 얼굴을 지칭하는 머리 혈(頁), 머리 수(首), 얼굴 면(面)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공통적으로 자(自)가 들어가는 것이 이런 주장을 뒷받침 한다.

설득력이 있는 또 다른 주장은, 중국인들은 자신을 가르칠 때 손가락으로 코을 가르키므로 자신, 스스로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자신을 가르칠 때 손가락으로 코을 가르키는 것은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이다. 사실 자신을 가르킬 때 머리를 가르키게 되는데, 머리의 중앙에 코가 있기 때문에, 그냥 코를 가르키는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앞의 주장이나 뒤의 주장이나 똑같은 내용이 된다.

하여튼 머리나 얼굴에 관련되는 글자에는 코(自)가 들어간다는 것에 유의하면서 글을 읽어보자.


■ 머리 혈(頁) - 몸이 있는 머리

머리카락(一)과 코(自)가 있는 얼굴 모습과 몸(人)을 본따 만든 글자이다. 사람 몸에 머리를 강조하여 머리라는 의미를 나타내었다. 머리 혈(頁)자는 다른 글자와 만나 많은 글자를 만들어낸다.

수염 수(須)자는 터럭 삼(彡)자와 머리 혈(頁)자를 합쳐 만들었다. 수염(鬚髥)은 얼굴에 난 털(彡)이기 때문이다.
잠깐 경(頃)자는 원래 밥을 먹기 위해 숟가락(匕)을 향해 머리(頁)를 기울인다는 의미를 가졌다. 나중에 머리를 기울 정도의 짧은 시간이라는 의미가 생기면서, 원래의 뜻을 보존하기 위해 사람 인(亻)자가 추가되어 기울 경(傾)자가 되었다. 경각(頃刻)은 짧은 시간을 의미한다.

머리 혈(頁)자는 머리속에서 일어나는 감정이나 생각, 성격을 의미하는 글자 등에도 사용된다.
괴로와 할 번(煩)자는 머리(頁)에 불(火)이 난 듯 괴로워하고 번민(煩悶)한다는 의미이다.
머리(頁) 속이 물(川)이 흘러가는 대로 따라 간다는 뜻의 순할 순(順)자에도 혈(頁)자가 들어간다. 순하게 복종하는 것을 순종(順從)이라 한다.

비슷할 류(類) 혹은 무리 류(類)자는 쌀알(米)들이 모두 비슷비슷하고, 개(犬)들의 머리(頁)자 모두 비슷비슷하다는 의미이며, 이런 비슷비슷한 것들이 무리를 이룬다는 의미이다. 유유상종(類類相從)은 같은 종류끼리 서로 만난다는 뜻이다.

밝은 현(顯) 혹은 나타날 현(顯)자는 원래 날 일(日), 실 사(絲)자와 [볼 견(見)→현]자가 합쳐진 글자이었다. 하지만 글자가 되는 과정에서 볼 견(見)자가 머리 혈(頁)자로 변형되었다. 밝은 햇볕(日) 아래에서 숨은 실(絲)을 찾아 낸다(見)라는 의미로 만들어진 글자이다. 현고(顯考)는 돌아간 아버지의 신주(神主)의 첫머리로 쓰는 말로 돌아간 아버지의 존칭이다.

▶ 頭 : 머리 두, 머리 혈(頁) + [콩 두(豆)] / 어두육미(魚頭肉尾)
▶ 項 : 목덜미 항, 머리 혈(頁) + [장인 공(工)→강→항] / 항목(項目)
▶ 頂 : 정수리 정, 머리 혈(頁) + [못 정(丁)] / 정문일침(頂門一鍼)
▶ 頸 : 목 경, 머리 혈(頁) + [물줄기 경(巠)] / 문경지교(刎頸之交)
▶ 顧 : (머리를) 돌아볼 고, 머리 혈(頁) + [품팔 고(雇)] / 삼고초려(三顧草廬)
▶ 領 : 두목 령, 거느릴 령, 머리 혈(頁) + [하여금 령(令)]/ 수령(首領)
▶ 顚 : 이마 전, 머리 혈(頁) + [참 진(眞)→전] / 전복(顚覆), 전도(顚倒)
▶ 題 : 이마 제, 머리 혈(頁) + [바를 시(是)→제] / 제목(題目)
☞ 堤 : (흙으로) 막을 제, 방죽 제, 흙 토(土) + [바를 시(是)→제] / 제방(堤防)
▶ 額 : 이마 액, 수량 액, 머리 혈(頁) + [손님 객(客)→액] / 액면(額面)
▶ 顔 : 얼굴 안, 머리 혈(頁) + [선비 언(彦)→안] / 안면(顔面)
▶ 願 : (머리로) 바랄 원, 머리 혈(頁) + [근원 원(原)] / 願望(원망), 원서(願書)
▶ 頑 : (머리가) 완고할 완, 머리 혈(頁) + [으뜸 원(元)→완] / 완고(頑固)
▶ 碩 : (머리가) 클 석, 머리 혈(頁) + [돌 석(石)] / 석사(碩士)
▶ 預 : 미리 예, 머리 혈(頁) + [나 여(予)→예] / 예금(預金)
▶ 頌 : (머리로) 기릴 송, 칭송할 송, 머리 혈(頁) + [공변될 공(公)→송] / 송덕비(頌德碑), 칭송(稱頌)


■ 머리 수(首) - 머리카락이 있는 머리

머리카락과 코(自)가 있는 얼굴의 모습을 본따 만든 글자이다. 머리를 뜻하는 글자로 머리 혈(頁)자보다 훨씬 많이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글자와 만나서 만들어내는 글자는 별로 없다.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글자로 머리 수(首)자가 들어가는 글자로는 길 도(道)자가 유일하게 있다. 길 도(道)자는 걸을 착(辶)자에 머리 수(首)자가 합쳐져 만들어진 글자이다. 즉 머리로 대변되는 사람이 길을 가고 있는 모습이다.

고을 현(縣)자를 자세히 살펴보면 머리 수(首)자가 들어 있다. 글자의 왼쪽 절반이 머리 수(首)를 꺼꾸로 세워 놓은 형상이다. 즉 나무(一)에 줄(糸)을 매어 죄수의 자른 머리(首)를 꺼꾸로 매달아 놓은 모습의 엽기적인 글자로, 원래 "매달다"라는 의미를 가졌다.(한자에는 이런 엽기적인 글자가 매우 많으며, 앞으로 계속 나온다.) 전시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목은 주로 성문 앞에 달게 되고, 결국 현(縣)자는 고을을 의미하게 되었다. 나중에 "매달다"라는 원래의 의미를 살리기 위해 마음 심(心)자를 추가해 매달 현(懸)자가 만들어졌다. 현수교(懸垂橋)는 샌프란시스코의 금문교처럼 줄에 매달려 있는 다리이다.


■ 얼굴 면(面) - 빰이 있는 얼굴

머리(一)와 코(自), 빰이 있는 얼굴 모습을 본따 만든 글자이다. 네모난 가장 자리가 얼굴을 나타낸다.

얼굴하면 맨 먼저 떠올리는 글자가 얼굴 면(面)자이지만 이 글자의 용도도 거의 없다.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글자 중에는 국수 면(麵)자가 유일하다. 국수 면(麵)자는 뜻을 나타내는 보리 맥(麥)자와 [얼굴 면(面)]자가 합쳐진 형성문자이다.냉면(冷麵)은 찬 국수이고, 맥주(麥酒)는 보리(麥)로 만드는 술이라는 의미이다.


■ 스스로 자(自) - 얼굴의 중앙에 있는 코의 앞 모습

스스로 자(自)자는 위에서 이야기 했듯이 얼굴의 중앙에 있는 코의 앞 모습을 본 따 만든 글자이다. 하지만 코의 모습인 자(自)자가 "자기, 스스로"라는 의미로 사용되자, [줄 비(畀)]자를 합쳐 코 비(鼻)자를 새로 만들었다. 비염(鼻炎)은 코에 염증이 생긴 것이다.

코는 냄새를 맡는데 사용(?)된다. 냄새를 가장 잘 맡는 동물은 개(犬)이다. 따라서 코(自)와 개(犬)가 합쳐서 냄새 취(臭)자가 만들어졌다. 악취(惡臭)란 나쁜 냄새이다.

코가 냄새를 맡는 용도 외에도 숨을 쉬는데 사용된다. 숨을 쉬면 공기가 코(自)에서 심장(心)이 있는 가슴으로 가게 된다. 그래서 숨쉴 식(息)자도 만들었다. 사실 공기는 심장(心)이 아니라 허파(肺)로 가지만, 한자가 겨우 만들어지기 시작한 고대 중국에서 그런 정도의 과학적인 지식이 없었기 때문에 너무 따지지 말기로 하자. 휴식(休息)은 쉰다는 의미이다.

말이나 행동의 앞뒤가 서로 맞지 않음을 일컬을 때 "창과 방패"라는 뜻으로, 모순(矛盾)이란 단어가 있다. 여기에 나오는 방패 순(盾)자에 자(自)자가 들어가 있는데, 코(自)로 대변되는 얼굴을 가리는 방패의 모습을 본 따 만든 글자이다.


■ 귀 이(耳) - 귀의 옆 모습

귀의 옆 모습을 본따 만든 글자이다. 소리나 듣는다라는 의미의 글자에 들어간다.

소리 성(聲)자는 석경 성(声), 칠 수(殳), 귀 이(耳)자가 합쳐져 만들어진 글자입니다. 즉 석경(声)을 쳐서(殳) 귀(耳)로 듣는다는 의미이다. 석경(石磬)이란 악기는 돌에 구멍을 뚫어 새끼줄로 매달아 막대기로 쳐서 소리는 내는 타악기이다. 석경 성(声)자는 줄에 매달려 있는 돌의 모습을 본따 만든 상형문자이다. 성량(聲量)은 목소리의 크기를 말한다.

좀 엽기적인 이야기이지만, 옛날에는 전쟁에서 자신이 죽인 사람의 귀를 잘라오면, 귀의 숫자에 따라 공과를 정했다. 조선시대의 임진 왜란을 기록한 유성룡의 징비록(懲毖錄)에도 왜군의 귀를 잘라 소금에 절여 조정으로 보냈다는 기록이 나온다.

전쟁터에서 죽은 적의 귀(耳)를 손(又)으로 잡으려는 형상을 그린 글자가 취할 취(取) 혹은 움켜질 취(取)자이고, 한 손(扌)에 귀(耳) 여러 개를 몰아 잡고 있는 형상이 몰아잡을 섭(攝)자이다. 섭취(攝取)는 양분 따위를 몸속으로 빨아들인다는 의미이다. 잇닿을 련(聯)자는 귀(耳)를 잘라 나란히 실(絲)에 주렁주렁 꿰어 이은 모습이다. 연합(聯合)이란 둘 이상의 조직이 어떤 목적으로 모이는 것을 의미한다. 장가들 취(娶)자는 여자 녀(女)자에 [취할 취(取)]자가 합쳐진 글자인데, 아마도 전쟁터에서 여자(女)를 잡아와 장가를 든다는 의미로 만든 글자임이 분명하다.

용감할 감(敢)자는 귀 이(耳)자와 칠 공(攻)자가 합쳐진 글자인데, 공격하여 적의 귀(耳)를 많이 잘라오는 사람이 용감(勇敢)하다는 뜻이다.
가장 최(最)자는 무릅쓸 모(冒)의 변형자와 [취할 취(取)→최]자가 합쳐진 글자인데, 위험을 무릅쓰고 귀(耳)를 잘라 오는 사람이 가장 최고(最高)라는 의미이다.
모일 총(叢)자도 손(又)으로 잘라온 귀(耳)를 모아놓은 것을 의미한다. 총서(叢書)란 갖가지 책을 많이 모은 것을 의미한다.

부끄러울 치(恥)자는 마음 심(心)자와 [귀 이(耳)→치]자가 들어가는 형성문자이다. 부끄러우면 귀가 빨개진다고 귀 이(耳)자가 들어간다고 한다. 귀 이(耳)자가 소리로 사용되는 희귀한 경우이다. 치욕(恥辱)은 부끄럽고 욕됨을 일컫는다.

▶ 聰 : 귀 밝을 총, 귀 이(耳) + [바쁠 총(悤)] / 총명(聰明)
▶ 聾 : 귀머거리 롱, 귀 이(耳) + [용 룡(龍)→롱] / 농아(聾啞)
▶ 聞 : (귀로) 들을 문, 귀 이(耳) + [문 문(門)] / 신문(新聞), 견문(見聞)
▶ 聽 : (귀로) 들을 청, 귀 이(耳) + 덕 덕(悳)의 변형자 + [줄기 정(壬)→청] / 청문회(聽聞會)
▶ 耽 : (귀로) 즐길 탐, 귀 이(耳) + [탐] / 탐닉(耽溺)
☞ 眈 : (눈으로) 노려볼 탐, 눈 목(目) + [탐] / 호시탐탐(虎視眈眈)


■ 눈 목(目/罒) - 눈동자가 있는 눈을 90도 회전한 모습

눈 목(目)자는 눈 속에 눈동자가 있는 형상을 90도 회전한 모습이다. 눈이나 본다라는 의미의 글자에 들어가며,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눈썹 미(眉)자는 눈(目)과 눈 위의 눈썹 모습을 본 따 만든 글자이다. 미간(眉間)은 눈썹과 눈썹 사이라는 뜻이다.
눈동자 정(睛)자는 뜻을 나타내는 눈 목(目)자와 [푸를 청(靑)→정]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화룡점정(畵龍點睛)은 용을 그리는데 눈동자에 점을 찍으니, 용이 하늘로 올라갔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사물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일컫는다.
장님 맹(盲)자는 눈 목(目)자와 [망할 망(亡)→맹]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장님을 맹인(盲人)이라고도 한다.

살필 성(省)자는 물건을 자세히 살펴 볼 때, 눈(目)으로 가늘게(少) 뜨고 보는 데에서 유래한다. 살필 성(省)자는줄일 생(省)자로도 사용됨에 유의하자. 성찰(省察)은 자기의 마음을 반성하여 살핀다는 의미이고, 생략(省略)은 줄이거나 뺀다는 의미이다.
살필 간(看)자는 눈(目) 위에 손(手)을 올려 놓고 멀리 살펴보는 모습이다. 간호사(看護師)는 살피고 보호하는 사람이다.
사람(儿) 머리에 눈(目)을 올려 만든 볼 견(見)자는 앞에서 이미 나왔다. 견문(見聞)은 눈(目)으로 보고 귀(耳)로 듣는다는 뜻이다.
서로 상(相)자로 알려진 상(相)자는 원래 볼 상(相)자 이었다. 어린 나무(木)를 눈(目)으로 관찰하며 살펴보는 모습이다.[관상(觀相)]
눈으로 살핀다는 살필 독(督)자에도 눈 목(目)자가 들어간다.[감독(監督)]

곧을 직(直) 혹은 값 치(直)자는 눈 목(目)자 위에 수직선(|)을 하나 그어, 똑바로 본다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만든 글자이나 이 후 모양이 변형되어 현재의 글자가 되었다. 값을 매기는데 곧게 봐야 하기 때문에 값이라는 의미도 생겼는데, 이때 치(直)로 소리남에 유의하자. 직선(直線)은 곧은 선이다.
곧을 직(直)자에 마음 심(心)자가 합쳐지면 곧은(直) 마음(心)이란 의미의 덕 덕(悳)자가 된다. 즉 의지대로 행동할 수 있는 인격적 능력이란 뜻이 된다.


눈 목(目)자를 90도 회전한 그물 망(罒)자도 눈이란 의미로 사용된다. 다음이 그러한 예이다.
덕 덕(德)자는 갈 척(彳)자에 [덕 덕(悳)]자가 합쳐진 글자인데, 곧은(直) 마음(心)을 따라 간다(彳)는 의미이다. 도덕(道德)은 사람이 마땅히 따라야 할 행동 규범이다.

꿈 몽(夢)자는 눈(目→罒)을 강조한 사람이 침상(冖)에 누워 있는 모습을 본 따 만든 글자에 저녁 석(夕)자를 추가하여 꿈을 꾼다는 의미를 나타내었다. 비몽사몽(非夢似夢)은 꿈을 꾸는지 잠이 깨어 있는지 어렴풋한 상태를 말한다.

둥근 옥 환(睘)자는 옷(衣) 중앙에 달린 둥근 옥(○→口)을 눈(目→罒)으로 내려다 보는 모습을 본따 만든 글자이다. 즉 옷길 원(袁)자 위에 눈(目→罒)이 붙어 있는 모습이다. 둥근 옥 환(睘)자는 독자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별로 없고 다른 글자와 함께 사용된다. 반지 환(環)자는 둥근(睘) 옥(玉)으로 만든 반지이고, 돌아올 환(還)자는 돌아올(睘) 길(辶)이라는 의미이다.

볼 역(睪) 혹은 죄인 잡을 역(睪)자는 눈(目→罒)으로 죄수(幸)를 엿보면서 감시한다는 의미이다. 다행 행(幸)자는 손이나 발, 혹은 목에 채우는 차꼬의 상형문자이다. 볼 역(睪)자도 독자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다른 글자와 만나 소리로 사용된다. 통역할 역(譯)자나 역 역(驛)자가 그런 예이다.

누에처럼 생긴 해바라기 벌레 촉(蜀)자의 상형문자를 보면, 몸의 모양(勹)에 머리를 상징하는 눈(目→罒)이 붙어 있는 모습이었으나, 나중에 벌레라는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벌레 충(虫)자를 추가하였다. 삼국지의 유비(劉備)가 세운 촉(蜀) 나라로 잘 알려져 있는 글자이다.

법 헌(憲)자는 해칠 해(害)의 변형자에 눈 목(目→罒)자와 마음 심(心)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죄수나 전쟁 포로의 한쪽 눈(目→罒)을 해(害)하여 애꾸눈을 만들었던 형벌(刑罰)에서 법(法)이라는 의미가 생겼다. 한쪽 눈을 안보이도록 하는 것은 노동력을 유지하면서 거리감을 없애 반항을 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나중에 이런 법을 마음으로 지킨다고 해서 마음 심(心)자가 들어 갔다. 헌법(憲法)은 한나라 최고의 법(法)이다.


■ 볼 견(見) - 사람 머리에 눈이 붙은 모습

볼 견(見)자는 어진 사람 인(儿)자와 눈 목(目)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즉 사람(儿)의 눈(目)을 강조해서 만든 글자로 본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깨달을 각(覺)자는 절구 구(臼), 점괘 효(爻), 집 면(宀→冖), 볼 견(見)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집(宀→冖)에서 두손(臼)으로 산가지(爻)를 들고 숫자를 배우는데, 눈으로 보면서(見) 깨달게(覺) 된다는 의미이다. 각성(覺醒)은 잘못을 깨달아 정신을 차린다는 의미이다. 비슷한 모습의 배울 학(學)자는 집(宀→冖)에서 아들(子)이 두 손(臼)으로 산가지(爻)를 들고 숫자를 배우는(學) 모습이다.

법 규(規)자는 사내 부(夫)자와 볼 견(見)자가 합쳐진 글자인데, 결혼한 성인(夫)이 보는(見) 판단의 기준이 법이라는 데에서 유래한 글자이다. 법규(法規)는 법률이나 규약 등 지켜야하는 규칙이다.

볼 시(視)자는 볼 견(見)자와 [보일 시(示)]자가 합쳐져 본다는 의미를 만들었다. 사람(儿)이 눈(目)으로 본는 것이 볼 견(見)자이고, 귀신이 미래를 본다는 의미가 보일 시(示)자이다. 제사상의 상형인 보일 시(示)자는 귀신이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 시선(視線)은 눈이 가는 방향이다.

가까울 친(親) 혹은 어버이 친(親)자는 볼 견(見)자와 [매울 신(辛)→친]의 변형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가까이서 본다(見)"에서, "가깝다"는 의미와 "어버이"라는 의미가 생겼다. 어버이(親)들이 외출한 자식들이 돌아 오는지를 보기 위해, 나무(木) 위에 서서(立) 멀리 내다 본다(見)는 해석은 속설일 뿐이다. 친구(親舊)는 가까이 사귀는 벗이고, 친척(親戚)은 친족과 외척이다.

나타날 현(現)자는 구슬 옥(玉→王)자와 [볼 견(見)→현]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옥(玉)에서 빛이 나타난다는 뜻에서 구슬 옥(玉)자가 들어 간다. 볼 견(見)자가 소리로 사용되는 희귀한 경우이다. 실현(實現)은 실제로 나타난다는 의미이다.

▶ 視 : 볼 시, 볼 견(見) + [보일 시(示)] / 시선(視線)
▶ 親 : 가까울 친, 친할 친, 어버이 친, 볼 견(見) + [매울 신(辛)의 변형자→친] / 친구(親舊), 친척(親戚)
▶ 觀 : 볼 관, 볼 견(見) + [황새 관(雚)] / 관람(觀覽)
▶ 覽 : 볼 람, 볼 견(見) + [살필 감(監)의 변형자→람] / 유람(遊覽)

댓글 없음:

댓글 쓰기